정주영 명예회장 아들 형제사이에 벌어지고 있는 현대그룹의 후계갈등이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쿠테타로까지 비유되는 이번 인사파문이 봉합 되고는 있지만 1인 오너가 지배하는 독점재벌구조의 병폐를 여실히 드러냈다는 점에서 재벌개혁 문제가 부각된다.

상법상 주식회사의 대표이사는 주주들에 의해 선출되도록 돼있다.

그런데도 엄연히 대주주가 조재하는 공개기업의 최고 경영자 결정을 소유 주식도 없는 정 명예회장이 독단적으로 결정하고 가족들에 의해 세습하고 있는 관행은 비단 현대그룹만의 문제는 아니다.

재경부장관은「회사의 대표이사 선임을 개인간 물건을 주고 받듯이 하는 가족경영의 폐해」를 지적, 세태해결이 원만치 않을 경우 제재조치를 가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우리나라 재벌기업의 현주소를 말해주는 대목이다.

현대그룹 문제는 소위「가족」이란 미명하에 숨겨진 가부장적 기업경영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또 대우그룹도 그동안「대우가족」이란 표현을 써왔지만, 일본 회사의「가족」개념은 다르다.

일본에서는 회사가 어려울때 사장이 자기집을 내놓고 친척집을 담보로 돈을 가져오는 등 그런면에서 철저한「가족경영」체제다.
하지만 우리나라 재벌그룹에서「가족경영」의 개념은 독점적 재벌의 세습등을 위한 것에 불과할 뿐이다.

새천년 디지털시대, 정보화시대를 맞고 있지만 우리나라 대표적인 현대그룹 王회장 오너 일가가 전권을 행사하는 전근대적 세습관행이 조선시대 후계자 싸움을 보는 것 같아 씁쓸하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