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6년 강원도 고성 산불때 정부는 산불감시요원을 배치하고 각 도마다 소방헬기를 확보하는등 산불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었다.

당시 고성 산불직후에 나온 정부의 대책이었다.

그러나 4년이 지난 지금까지 조금도 나아진게 없다.

지난 6일 또다시 고성지역에서 발생한 산불이 9일동안 진화되지 않고 1만2천여ha(3천6백만평)의 임야를 태우고 인명피해까지 냈고 가옥도 1천여채가 소실되는 등 엄청남 피해를 냈다.

정부의 안이한 대책이 초기진화에 실패를 했고 그로인해 산불지역 주민피해가 이만저만한게 아니다.

이번 산불은 강원도 고산지대 악산(惡山)지역에서 발생한데다 강풍때문에 소방헬기가 대거 동원됐는데도 속수무책이었다.

예방이 최선의 방책이라는 교훈을 잘 보여준 것이다.

선진국처럼 산불이 나기쉬운 건조기에는 입산을 최대한 통제하는것이 산불예방의 지름길이다.

최소한의 등산로에 대해서도 입산객들의 소지품을 철저히 점검해 화기 반입을 원천봉쇄하는 적극적인 조치가 있어야 한다.

이번 강원도 산불을 진화하면서도 정부의 안이한 대처에 대해 국민들은 실망하고 있다.

뒤늦게 산림청이 발표한 산불예방 종합대책을 보면 전국의 등산로 90%를 폐쇄하고 산불을 낸 사람에 대해서는 검찰과 협조해서 피해면적에 관계없이 법정최고형을 구형하겠다고 나서고 있다.

또 허가없이 라이터와 버너를 갖고 산에 오른 사람을 적발하면 30만원의 과태료를 물리기도 한다, 그동안 가뭄으로 전국에 50일이 넘도록 건조주의보가 내려졌고 전국 각지에서 5백40여건이 넘는 크고 작은 산불이 발생했는데도 이제서야 사후약방문 식의 대책을 내놓은 것이다.

물론 산불은 주민의 자발적 예방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단속과 철저한 예방조치를 병행하지 않고 주민의 자발적 산불 예방에만 의존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산불 발생원인의 70%가 입산자 실화등 사람들의 사소한 부주의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상기하면서 더욱 철저한 사전조치를 마련해야 할 일이다.

산악지대가 많은 충북도 산불로부터 안전지대일 수는 없다.

도내에는 국립공원 속리산과 소백산을 비롯해 남한강변 천혜의 자연관광자원 지대가 언제 발생할지 모를 산불에 노출돼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도가 보유하고있는 산불진화장비 또한 얼마나 낙후돼 있는가 말이다.

매번 산불이 발생할때마다 산림청에 헬기지원을 요청해야하고 그외에는 고작 공무원이나 주민등이 삽과 곡괭이등으로 불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게 산자락이나 긁어야하는 실정이니 말이다. 소방헬기 1대를 구입하는데 50억원이 소요된다고 한다.

또 헬기를 운영하려면 3명의 조종사가 상주해야 하기 때문에 예산상 이의 운영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예산타령만 할 게 아니다. 한번 산불이 나면 수십 수백년된 산림이 단숨에 잿더미가 되고 그만한 사람을 살수 없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