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정치는 국가에 따라 운영체제를 달리하고는 있지만 대체로 정당정치를 근간으로 한다.

정당정치가 시작된 것은 산업혁명과 선거권 확대로 정치과정에 대중이 참여하면서 민의에 대한 대응력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당은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국민의 의견을 수렴. 여론으로 형성하고 이를 국정에 반영하는 역할로 유권자로부터 표로 심판을 받게 된다.

오늘날 정당이 조직화되어 있고 외부지향적인 속성을 갖게 된 것도 민의를 제대로 수렴 국정에 반영하기 위한 것이다.

민주정치가 곧 정당정치로 통용될 만큼 정당의 자유로운 결성과 활동 복수정당제의 정착이나 선거를 통한 정당간의 정권교체등이 한 국가의 민주주의 발전정도를 측정하는 중요한 것도 이같은 이유에 근거한다.

그러나 정당정치는 정치과정의 주도권을 정당이 장악하기 때문에 조직이나 정책,당 재정등의 혁신에 실패할 경우 數(수)나 힘의 논리를 내세울수밖에 없어 민의를 제대로 읽지 못하고 금권부패정치로 전락하기 쉽다.

우리나라 정치권이 국민적 불신과 혐오를 받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새천년 첫 선거인 제16대총선이 막을 내렸지만 여전히 화합과 타협보다는 갈등과 대결의 정치를 우려하는 시각이 높다.

정당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다수의석임은 두말할 필요가 없지만 여당이 이를 목표로 무리한 세불리기에 나서거나 야당이 제1당의 위력에만 의존하려 해서는 안된다. 정치의 기본은 대화와 타협에서 찾아야 하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