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고도 청주는 일제의 한반도 강점 상처를 너무도 많이 입었다.

우선청주읍성이 도시 근대화라는 미명아래 송두리채 없어졌고 청주목 관아에 있던 여러 부속 건물과 객사가 헐리거나 딴곳으로 옮겨졌다. 공민왕이 과거를 실시했다는 망선루는 제일교회로, 이인좌의 난 당시 병사 이봉상 등을 제향하는 표충사는 수동으로 각기 흩어졌고 여타 객사도 한민족 문화 말살정책으로 인하여 뿔불이 이삿짐을 쌌거나 숫제 사라졌다.

이과정에서 기적적으로 연명한 것이 현재 청원군청 청사 뒷편에 있는 청주목 동헌인 청녕각(淸寧閣·지방유형문화재 제 109호)과 중앙공원 정문근처에 있는 병마절도사 영문(營門)이다. 지난 80년도 말까지는 청녕각 현판이 엉뚱하게도 병마절도사 영문에 70여년 동안이나 붙어 있었다. 그것도 영문앞쪽이 아니라 운동선수의 유니폼 백넘버처럼 영문 등어리에 부착돼 있었다.

다행히도 그런 오류가 뒤늦게나마 발견돼 지금은 청주목 동헌, 제위치로 현판의 자리를 찾았지만 말이다. 청녕각은 청주시의 역사를 말해주는 대표적 목조 건축물이다.

어슴푸레 청주시의 역사를 말해주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우체국이 청주의 기점(基點)이 되는 것 처럼 청주역사의 기점이 바로 청녕각인 것이다. 그래서 청녕각은 단순한 목조건축물이 아니라 청주 역사의 표석(標石)이 된다.

만일 청녕각이 조금이라도 위치를 바꾼다면 기준점을 바꾸는 것이므로 여타 문화재가 상대적이고 체감적인 자리바꿈을 해야하는 입장에 놓여있는 것이다. 안방위치에 따라 사랑방, 행랑채의 위치가 정해지기 때문이다. 문화재는 일단 본래 자리를 떠나면 가치가 반감된다.

제위치를 떠나 방황하다 근 80년만에 친정 집 가까이 귀환하는 망선루를 보면 문화재 행정의 답을 구할 수 있다. 세계 중요문화유산을 관리하는 유네스코 협약에도 문화재는 현장보존 원칙을 채택하고 있다. 이렇게 중요한 청주목 동헌의 현주소는 어떤가.

청원군 청사에 가려 통풍, 채광이 불량하여 자재가 부식되는 등 세월의 흙먼지를 뒤집어 쓰고 있다. 청원군에서는 이를 청사앞으로 옮기려다 충북도문화재위원회의 제동으로 주춤하고 있다. 한마디로 청녕각은 청주시의 터줏대감이다.

그런데 왜 터줏대감이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마는 것일까. 이는 문화재 마인드의 부족과 행정편의 위주에서 비롯되는 기이한 현상이다. 청사 사용의 불편한 점을 모르는바 아니나 문화재의 중요성, 청주역사의산 증인을 염두에 둔다면 양보해야 할 자는 누구인가 명확해진다.

어차피 청원군청사는 협소한데다 청주시 복판에 있어 매우 혼잡하다. 외곽으로의 청원군 청사 이전이 청주시와 진지하게 논의되었으면 한다. 청주 시유지와 청원군 청사 부지와의 빅딜을 추진했으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다.

부지를 맞바꾼후 차액을 보상하면 되는 것이다. 청원군내 38개 기관·단체가 청원군 청사의 이전을 촉구하는 것도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