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동남쪽 뱃길따라 2백리 외로운 섬하나 새들의 고향 그누가 아무리 자기네 땅이라고 우겨도 독도는 우리땅.

정광태의 ‘독도는 우리땅 가사로 국민들에게 더욱 각인된 대한민국의 영토’ 독도가 자기네 땅이라고 우기는 일본인들 때문에 또다시 언론에 오르내리고 있다.

독도는 바다에 있지만 높이 2천여미터의 거대한 산의 꼭대기이다. 생성시기 만으로 따지면 지금으로부터 약 4백50만년 내지는 2백50만년전 사이여서 울릉도나 제주도보다도 맏형인 셈이다. 독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기원전 1세기 전후로 추정되며, 신라 지증왕 13년인 서기 512년 우산국이 신라에 병합된 이후부터라는 역사적 기록이 삼국사기에 나온다.

이러한 독도를 일본 외무성이 얼마전 발행한 「2000년판 외교청서」를 통해 독도가 일본의 영토라는 주장을 예전보다 강하게 내세워 이들의 저의를 경계케 하고 있다.

한일간의 독도 영유권 논쟁이 점화된 것은 지난 50여년전.

한국 정부가 인접 해양의 주권에 대한 대통령선언(통상 평화선)을 발표하자 일본정부가 이를 받아들일수 없다며 외교문서를 보내 오고서 부터이다.

이후 지난 97년 일본 외무성은 10대 외교지침에 독도탈환 외교를 공식항목으로 포함시켰다.

일본 시네마 현의 관공서에는 독도 홈페이지가 등장했으며, 해상자위대 오개촌(五箇村)을 독도소속 관청이라고 명기까지 해놓았다.

여기서 한술 더 떠서 일본정부는 지금 일본인들의 호적까지 독도에 옮겨주는 작업을 하고 있다.

호적 신청은 민간인들의 행동이라지만 이를 등재하는 행정 행위는 분명 일본정부이니 이는 결국 독도에 대한 중대한 도발이 된다.

게다가 얼마전에는 일본의 육해공군 자위대가 이오지마에서 독도상륙 접수훈련을 했다는 일본언론의 보도가 실렸다.

이같은 일련의 흐름을 보면 일본정부가 독도를 언젠가는 자기네 영토로 편입하려는 모종의 중장기 계획을 갖고 차분히 추진하고 있음이 감지된다.

반면 이에 맞서는 우리 정부의 대응책은 너무 허술하다는 느낌을 떨굴수 없다.

우리 정부는 지난 99년 일본과의 신한일어업 협정의 체결당시 독도를 중간수역에 포함시키는 오류를 범했다.

한국의 EEZ기점을 독도라고 명기하지 않은 것도 중요한 실수중 하나였다.

오히려 독도는 뜻있는 시민단체들이 독도리 신설 청원을 계기로 금년 1월부터 경북 울릉읍 독도리 산 1-37번지로 행정구역상 지위와 주소가 바뀌었다.

독도사랑 동호회가 독도에 대한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독도신문이 나오는 것도 반가운 일이 아닐수 없다.

영토로서의 가치도 매우 높은 것이 독도다.

한류와 난류의 교차지점인 독도주변 해역은 플랑크톤이 풍부해 회유성 어족이 넘실되는 바다의 보고이며, 군사및 해양과학적 가치도 높다.

우리는 이제는 독도를 우리땅이라고 말로만 주장할때가 아니다.

독도를 개발하여 관광상품화 하는 방안도 적극 찾아 나서야 한다.

실제로 독도의 동도와 서도 사이에 산재된 수많은 바위섬을 매립하면 미식축구장만한 면적이 나온다고 한다.

관광지나 애국의 도장으로 개발하기에도 충분한 면적이다.

독도지키기에는 정부와 국민이 따로 없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