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올 해를 「지역 문화의 해」로 지정했지만 지역문화가 정착될 수 있는 정책적 배려가 없어 「빛좋은 개살구」라는 말을 듣고 있다. 한 나라의 문화는 다양한 향토성과 전통성 기반에 존립하는 것으로 지역문화는 곧「국가문화의 고향」이고 「국력의 뿌리」이다. 특히 지역문화는 그 지역의 특성을 바탕으로 삶의 질의 창작을 통해 더욱 품격을 높여보자는데 있다.

그러나 작금의 지역문화를 보면 타지역 사람들로 형성된 대도시 지역은 이기심이 팽배해 공동체 의식이 희박하고, 시골은 고향을 지키는 토박이 노인들만 남아 있어 지역 문화인은 서울로 떠나지 못한 자신을 부끄럽게 여기는 현실이다. 이러한 오늘의 현실은 도ㆍ농을 막론하고 애향심이 사라지므로 자연 문화 불모지로 변할 수 밖에 없다, 때문에 애향심이 없는 문화불모지를 만회시키려면 정부의 적극적인 지방문화 육성책이 뒷받침 돼야 한다는 요구가 설득력을 더해가고 있다.

이웃한 일본은 우리의 문화원과 같은 공민관이 전국에 약 2만여개가 있어 지역주민들의 사랑방 역할을 돈독히 하고 있다. 일본이 패망한 후 잿더미속에서 가장 먼저 시도한 것이 공민관으로 여기서 주민에게 용기를 주고 문화를 비롯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해, 오늘의 경제대국을 이룩한 원동력이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반면 우리의 문화원은 겨우 2백11개에 회원수 10만명에 이르고 있어, 일본의 공민관에는 비교할 수도 없는 처지다. 앞으로 행정당국은 문화시책의 전시행정을 지양하고 지역문화가 정착될 수 있는 확실한 정책적 배려를 서두를 때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