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1일 현재 통계청이 집계한 우리사회 65세 이상 노령인구는 3백37만1천명으로 총인구의 7.1%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65세 이상 노령인구 비율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로 분류한 유엔 기준에 따라 우리도 고령화사회에 돌입했음을 알려주는 수치이다. 특히 충북도내 노인인구는 전국비율보다 좀 높아서 지난해 12월 31일 현재 전체 인구의 9.1%인 13만6천1백60명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우리사회는 노인인구 증가가 매우 빨리 진행되고 있다.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하는데 프랑스가 1백15년, 스웨덴 85년, 미국 75년, 영국 45년이 걸렸고 세계적으로 유례없이 빨랐다던 일본이 26년이었다. 하지만 예상대로 2020년 14.3%로 고령사회에 진입하게 되면 단 22년만에 고령사회 진입을 이루게 된다.
 고령화 사회가 되면 젊은 노동력이 부족해지는 반면 부양노인이 증가함에 따라 복지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게 되고 일자리 창출 등 노후보장문제도 심각한 현안이 된다.
 더욱이 노인인구 증가가 완만히 진행된 선진국이 각종 연금제도 및 다양한 노인복지서비스 프로그램을 점차적으로 정착시키며 이에 대비해온 것과는 달리 노인인구 증가의 빠른 속도를 보이는 우리의 경우 심각하고도 복합적인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
 안타깝게도 이같은 우려는 진작부터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 4, 5일 지역에서는 60, 70대 노인들의 신병비관 자살소식이 들려와 어버이날을 우울하게 만들고 있다. 밑바닥 수준을 면치못하는 노인복지시설, 항상적인 위험에 노출돼있는 노인들의 안전문제는 하루 이틀 지적된 바가 아니지만 획기적인 대안이 제시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결과 저소득층 노인의 70%가 생활능력 부족으로 자살충동을 느끼고, 매일 5.7명의 노인들이 교통사고로 사망하며 70명이 부상당하는 나라가 바로 「동방예의지국」의 현주소가 됐다.
 특히 가뜩이나 가파르게 진행되는 고령화사회로의 변화가, 끝을 모르는 불황의 긴 터널을 통과하게 돼있어 심각성이 크다. IMF사태 이후 계속된 극심한 불황의 여파로 우리 사회가 강퍅한 생존전략 모색에만 급급한 현실이 전통적인 효 사상의 퇴조와 맞물려 상승작용을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어떠한 이유와 혹은 핑계에도 불구하고 노인들의 복지문제를 방관할 수만은 없다. 여론형성의 주도권과 정책결정권한으로부터 배제된 노인들의 삶의 질을 고민하는 것은 우리사회의 미래를 결정짓는 것이기 때문이다.
 점차 사회적 입지가 좁아지고 삶의 질이 하락되는 노인들의 처지를 놓고 효사상 및 가족공동체의 복원이라는 방안만을 외치는 것은 무책임한 공염불이 된다는 점도 명심해야 한다. 전통적 사상의 붕괴와 공동체적 자아의 해체라는 거스를 수 없는 현실을 전제로, 방안을 찾는 것이 정책당국이 해야할 일이기 때문이다. 노인복지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국가적 차원의 제도적 기반 확충이 다른 무엇보다도 절실한 이유가 바로 이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