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8년(고종 5년) 일본 정부는 그들의 왕정 복고를 조선 정부에 통고하고 양국의 국교회복을 요청하는 사신을 보내 왔다. 그러나 당시 척왜정책을 내세우고 있던 대원군 집정의 조선 정부는 사신의 접견을 일언절하에 거부했다. 또 1872년에는 외무대승 하나부사 요시모토가 군함을 이끌고 부산에 내도했으나 조선측은 이 역시 「왜사(倭使)가 군함을 타고 왔다」는 이유를 들어 그들을 만나주지 않고 냉대해 되돌려 보내 버렸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일본의 조야에서는 정한론(征韓論)을 세차게 들고 나왔다. 1873년에는 이 것을 정치문제화해 메이지(明治) 신정부의 참의인 사이고 다카모리 및 이다가키 다이스케, 외무경 소에지마 다네오미 등 강경 정한론자들은 우대신 이와쿠라 도모미 등이 해외시찰차 나가 있는 사이를 틈타 사이고가 스스로 견한대사(遣韓大使)가 되어 외교적 타결을 시도한 뒤 이것이 여의치 않을 경우 조선에 파병을 해 무력행사를 하기로 결정하기에 까지 이르게 된다. 이러한 19세기 말의 「정한론」은 20세기 초의 한국침략으로 이어지고 만다. 즉 당시 일본의 정한론은 한국침략을 치밀하게 꾸민 음모였던 것이 만천하에 드러난 셈이다. 지금 일본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가 내세우는 왜곡 교과서 수정 거부와 신사참배의 강행, 미국 추종 주변국들에 대한 멸시 등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침략전쟁의 음모를 서서히 꾸미던 양상과 너무나도 흡사하다. 1870년대를 전후하여 일본 정계에서 강력하게 대두됐던 정한론 역사의 음모를 경계해야 할 때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