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주대는 20일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의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 1단계 진단평가 결과, 예비 자율개선대학에 선정돼 재정지원제한대학에서 탈피를 눈앞에 두고 있다. 사진은 청주대 전경. /청주대학교 제공
청주대는 20일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의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 1단계 진단평가 결과, 예비 자율개선대학에 선정돼 재정지원제한대학에서 탈피를 눈앞에 두고 있다. 사진은 청주대 전경. /청주대학교 제공

청주대가 최근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의 '2018년 대학기본역량진단' 1단계 진단평가에서 예비 자율개선대학에 선정됐다. 이는 청주대가 5년 만에 정부의 재정지원제한대학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청주대는 부정·비리에 따른 제재(감점)을 거쳐 오는 8월말 자율개선대학으로 최종 확정된다고 한다. 학교가 부실대 리스트에 오른 이후 오랫동안 내부적으로 진통을 겪었던 청주대 구성원들에겐 감회가 남다를 것이다. 하지만 청주대가 자율개선대학이 됐다고 해서 미래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정부의 대학구조개혁과 관계없이 우리사회는 저출산과 학령인구 감소라는 미증유(未曾有)의 격랑이 몰아치고 있다. 이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면 강제퇴출당하거나 스스로 문을 닫아야 한다.

2013년 이후 청주대는 암흑기였다. 정부의 강도 높은 대학구조개혁에 따라 4년 연속 부실대의 기준이라고 할 수 있는 재정지원제한대학에 선정돼 입학정원을 감축하기도 했다. 이 와중에 청주대는 재단, 학생, 동문회, 노조, 교수회등 학내갈등과 분열로 지역사회가 떠들썩할 만큼 물의를 일으켰다. 청주대는 또 지난해 개교이후 처음으로 미달사태를 겪었다. 도무지 앞이 보이지 않을 만큼 난관의 연속이었다.

하지만 청주대가 이런 최악의 위기를 극복하고 예비 자율개선대학에 선정된 것은 대대적인 학사구조 개편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대학의 새로운 모델 구축을 위한 기반을 갖췄기 때문이다. 또 학교 구성원들이 학사구조개선위원회를 공동으로 구성해 중장기발전계획 및 학사구조 개선을 추진하고 대학운영에 교원 및 대학구성원의 민주적 참여와 소통을 확대하는 제반장치 마련을 제도화하는 등 역량을 모은 것도 주효했다. 이는 변화를 두려워하고 분열을 택하면 앞날이 불투명하고 혁신과 화합을 추구하면 청주대를 살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미래의 통계지표를 살펴보면 향후 대학사회의 현실이 그리 녹록치 않다. 저출산·고령화현상은 대학에도 민감한 영향을 주고 있다. 당장 올부터 고교졸업생 수가 대입정원 58만 명보다 5만 명 이상 감소했다. 이런 현상은 해가 거듭할수록 더욱 심화, 확대된다. 특히 수도권 대학에 비해 지방사립대는 충격파가 심해졌다. 입학생보다 대학정원이 많은 상황에서 학비가 비싸고 장학금 혜택이 적으며 교육의 질이 떨어진다면 고졸입학생들이 굳이 지방사립대를 선택할 이유가 없을 것이다. 바로 이런 점 때문에 2008년 이후 거의 10개 대학 안팎의 부실대학이 스스로 문을 닫았으며 구조조정의 칼날을 피해가지 못한 학교도 여럿이다.

청주대는 이번 예비 자율개선대학 선정에 만족하지 말고 개혁의 고삐를 더욱 강하게 당겨야 한다. 대학은 이미 무한경쟁 시대에 돌입했다. 대학의 규모가 경쟁력의 기준이 되는 시대는 지났다. 명문대나 특정 전공분야에 경쟁력을 갖춘 대학이라면 몰라도 많은 대학들이 대학사회의 지각변동에 의해 간판을 내릴 가능성이 많다. 선택과 집중으로 대학의 질을 높이지 않는 대학의 미래는 뻔하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