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전 노환으로 별세
빈소는 서울 아산병원…'3김' 시대 역사속으로

/중부매일 DB
故 김종필 전 국무총리 / 중부매일 DB

[중부매일 김성호 기자] '영원한 2인자', '풍운아' 등의 김종필(JP) 전 국무총리가 지난 23일 향년 92세의 일기로 서울 중구 신당동 자택에서 별세했다. 유족은는 김진(55) 운정장학회 이사장과 김예리(65) Dyna 회장.

김 전 총리는 이날 오전 노환에 따른 병세가 급격히악화돼 서울 중구 신당동 자택에서 순천항병원으로 이송됐지만 이미 병원 도착 전 숨을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총리의 빈소는 현대 아산병원, 발인은 27일 수요일 5일장으로, 노제를 지낸 뒤 국립현충원이 아닌 충남 부여 선산에 안장될 예정이다.

김 전 총리의 서거로 고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 등 한국 현대사를 이끌었던 '삼김(三金) 시대'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됐다.

김 전 총리는 1926년 1월7일 충남 부여군 규암면 외산리에서 7남 중 5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김해 김씨로 부친은 부여군 규암면장을 지낸 김상배(金相培)옹이며 모친은 이정훈(李貞薰)여사다.  

김 전 총리는 부여초등학교를 졸업한 뒤 5년제인 공주중학교를 4년 만에 조기 졸업하고, 대전사범학교를 수료했다. 또 지넌 1946~1848년 서울대 사범대 교육학부(3년 수료)를 거쳐 1949년 육사 8기로 졸업한 뒤 고 박정희 전 대통령을 만나 그의 소개로 배우자인 박영옥 여사와 1951년 결혼했다.

35세에 박 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자리매김한 김 전 총리는 5·16 이후 초대 중앙정보부 부장과 11대 국무총리를 지냈다.

또 박준규 전 국회의장·김영삼 전 대통령과 함께 9선(6·7·8·9·10·13·14·15·16)으로 역대 최다선 국회의원, 이후 김대중 전 대통령과 손잡고 정권을 창출한 뒤엔 31대(DJ정권) 국무총리에 재차 오르기도 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정치적 동지이자 처 조카로 정권 '2인자'로 올라선 김 전 총리는 지난 1969년 '3선 개헌'을 계기로 권력의 중심에서 조금씩 멀어져갔다. 

박정희 정권 창출의 일등공신으로 국무총리까지 지내며 유력한 대선주자로까지 거론됐으나 '3선 개헌'과 '유신 선포'로 두번이나 대통령의 꿈을 접어야 했다. 이 과정에서 박 전 대통령과 사이가 멀어진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김 전 총리는 지난 1979년 박정희 전 대통령의 서거 후 '서울의 봄' 당시 김영삼 의원(신민당), 김대중 전 의원과 함께 유력한 대선주자로 다시 거론됐으나 전두환 대통령의 신군부 세력에 의해 정치 활동을 금지 당했다. 신군부는 이 과정에서 김 전 총리를 부정축재자로 지목, 재산을 몰수하기도 했다. 

이후 김 전 총리는 미국에 머물며 잠행을 계속하다 1987년 6·10 민주항쟁을 계기로 신민주공화당을 창당, 13대 대선에 나섰으나 고배를 마셨다.

김 전 총리는 1990년 3당 통합 즉, 민주정의당·통일민주당·신민주공화당이 합쳐진 민주자유당에 몸을 실었다가 김영삼 정부 정부 시절인 1995년 당내 민주계에 의해 '2선 후퇴'를 요구받으면서 탈당, 자민련(자유민주연합)을 창당했다.

자민련은 이듬해인 1996년 15대 총선에서 돌풍을 일으켜 충청권을 기반으로 무려 50석을 얻는데 성공했고 김 전 총리도 재기의 발판을 마련했다.

김 전 총리는 다시 1997년 DJP(김대중, 김종필, 박태준)연합을 통해 총리에 재차 오리며 정치적 영향력을 이어갔지만 2001년 내각제 개헌 문제로 DJ와 결별하면서 차츰 정치적 쇠퇴기를 맞았다.

급기야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역풍으로 17대 총선에서 참패, 정계 은퇴를 선언하고 일선에서 물러났다.

김 전 총리는 2008년 말 뇌졸중으로 쓰러진 이후 휠체어에 의존해왔으나 2013년 자신의 아호를 딴 '운정회' 창립총회를 열었고, 2015년에는 43년의 정치인생을 펴낸 책을 출간하는 등 최근까지도 정치적 행보를 이어오기도 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