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천댐 건설 여부를 앞두고 상황이 복잡하게 얽히고 있어 이에 대한 충북도의 일관성있는 대책이 마련돼야 할것 같다.
 지난 96년, 정부가 달천댐 건설을 계획했을때는 주민·환경단체 모두가 반대를 하여 일단 백지화라는 보증수표를 받아낸 바 있는데 몇년후 이 문제를 둘러싸고 지역주민의 민·민 갈등 현상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건설교통부가 내년도 정부 예산에 달천댐 기본 설계비 27억원을 편성한 사실이 알려지자 괴산군내 불정·감물·장연면 등 수몰 예정지역 주민들은 「달천댐 건설 반대 괴산군 대책위」를 구성하여 반대 투쟁에 나서고 있다.
 그런가 하면 불정면 주민들로 구성된 달천댐 수몰 예정지 주민협의회는 최근 「달천댐 건설 추진위」를 구성하여 댐 조기건설을 촉구하고 나섰다.
 댐건설 반대 대책위는 댐이 건설될 경우 환경및 생태계의 파괴, 재산권 침해, 각종 행정 규제 등 피해가 우려된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으며 건설 추진위는 수몰지로 알려진 뒤 땅값이 계속 떨어지고 있어 주민들이 큰 손해를 보고 있다며 상반된 견해를 내놓고 있다.
 이런 경우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할지 실로 난감한 일이다. 우리는 어느 측이 됐던 해당주민의 피해가 있어서는 안된다고 본다. 비록 소수의 견해라도 존중돼야 하고 재산상의 어떤 손실이 가서는 안 될 일이다.
 그러나 충주, 괴산, 음성 지역 일원 24㎢에 걸쳐 2억3천6백만㎥ 규모의 댐 건설은 몇몇 마을의 문제 뿐만이 아니라 수몰·수변구역및 충북도 전체의 과제요 더 나아가서는 가히 국가적인 일이다.
 환경이란 특정지역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므로 최소한 달천댐 건설 계획을 놓고 범도민적 합의를 도출해내야 하는 것이 순서다. 충북도는 세미나를 열든, 주민 공청회를 열든 그 결과를 토대로 입장 표명을 분명히 해야 한다.
 댐의 건설이란 주변 환경을 뒤바꿀만한 큰 역사(役事)다. 댐이 건설되면 충북도 남한강 수계의 환경은 어떻게 변하는지, 또 기존의 충주댐과 대청댐과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건지 종합적인 조사와 검토가 선행돼야 한다.
 달천댐이 건설되면 괴산군은 지도에서 없어지다시피 한다. 인구도 줄 것이 뻔하다. 이런 지리학적인 입장이나 산자수명한 괴산의 풍광및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괴산의 역사적 정체성 상실 등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충분한 학술연구와 여론 수렴을 거쳐 찬·반을 가린 연후 광역단체에서 그 대응논리를 세워야 한다.
 전문가의 의견을 존중하고 또 공청회에서 다수의 의견이 정해진다면 다수결이라는 민주주의의 원칙에 따라 서운함을 접고 동참해야 할 것이다.
 지난번에는 지역주민 모두가 반대하여 백지화됐으나 이번에는 민·민 갈등이 생겨 그 향방을 점치기 어렵게 됐다. 이를 추진하고 있는 정부측에서는 댐건설 찬성측 의견에 탄력을 받아 밀어부칠 공산도 매우 크다고 본다.
 부디 대승적 차원에서 손익계산서를 작성하여 충북도의 일관된 입장을 표명하기 바란다. 적당히 뒷짐을 지면서 이쪽 저쪽 눈치나 보는 것은 책임있는 지방행정이 아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