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들의 가장 큰 걱정거리는 뭐니뭐니해도 물가 인상이다. 수입은 제자리인데 쓰임새는 자꾸 헤퍼진다. 더구나 올 겨울은 한박자 빨리 다가서고 있다. 난방에다 김장 걱정 등 겨울나기가 만만치 않은 판에 공공요금이 춤을 추고 있다.
 정부의 요금조정 작업에 따르면 지역난방 요금및 난방용 심야 전력 요금이 9.8%에서 최고 34.4%까지 올랐다고 한다.
 이에 질세라 휘발유 경유가격이 뜀박질을 하고 실내 등유, 보일러 등유 가격도 올랐다. 어디 그뿐인가. 프로판가스, 부탄가스 가격도 껑충거리고 상수도, 하수도 요금도 큰 폭으로 오를 조짐이다.
 공공요금의 인상은 그만한 물가인상 요인이 발생한데 따른 것이지만 문제는 서민들이 이를 감당하기가 벅차다는데 있다.
 한달 수입이 수백, 수천만원에 달하는 가구와 면세점을 넘나드는 가구와 비교할때 공공요금 인상 체감지수는 엄청나게 다르다. 부유층에서는 이같은 인상이 조족지혈이 될지 모르지만 서민층에서는 큰 등짐으로 작용하기 마련이다.
 게다가 물이용부담금이 신설되어 지난 10월부터 가정용의 경우 톤당 1백 10원이 부과됐다. 공공요금이란 공급자측에서 일방적으로 결정하면 수요자가 아니 따를 수 없다.
 일반 물가라면 덜 쓰고 허리띠를 졸라매서 수입과 지출의 간극을 어느정도 줄일 수 있겠지만 공공요금이란 부과된 액수를 깎을 수도 없는 입장이다.
 겨울이 닥친 시점에서 공공요금을 기습적으로 올린 것도 시의적절치 않은데 인상폭도 너무 커서 서민들의 허리가 휘지 않을까 걱정된다.
 한자리 숫자 인상만으로도 감당하기가 힘든 판에 무슨 공공 요금이 인플레 현상을 보이듯 겁도없이 두자리 숫자를 껑충 껑충 뛰어오르는지 모를 일이다.
 공공요금 인상과 더불어 파생되는 또하나의 걱정은 바로 물가 인상이다. 공공요금이 이렇게 오르는데 물가라고 가만히 있겠는가. 제반 물가가 덩달아 춤을 추면 서민들의 겨울나기가 어느해보다 힘들게 뻔하다.
 모든 물가의 인상을 주도하는 것이 바로 공공요금이다. 인상요인이 생겼다고 해서 일단 올리고 보자는 식은 서민을 염두에 두지 않는 처사다.
 국민의 정부란 무엇인가. 대다수 서민을 우선적으로 배려하여 복지정책을 펴고 서민의 아픔을 어루만저 주는 시책을 펼쳐야 명실상부한 국민의 정부로서 입장이 설게 아닌가.
 연말 대선을 앞두고 대선 후보들은 저마다 국리민복(國利民福)과 서민들을 위한 정책을 펼쳐 보이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정반대로 가고 있지 않은가. 대선 후보들이 장밋빛 청사진을 제시하는 사이에 공공요금은 슬슬 오르고 있지 않은가 말이다.
 공공요금을 올리려면 이와 더불어 소득을 올리고 서비스 개선과 함께 국민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방책을 세우는게 순서다. 이런 원칙론이 통용되는 상식적인 매카니즘은 아직도 요원하다.
 아침저녁으로 날아드는 세금, 공공요금 고지서, 각종 지로용지와 청첩장 세례에 서민층은 죽을 맛이다. 올 겨울은 좀 포근할까 기대했는데 공공요금이 널뛰는 것을 보니 이도 틀린 모양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