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탄력성 결정요인의 분석을 통한 고용창출력 확충방안'
충북 대졸 이상 경제활동인구 비율 전국대비 크게 낮아
고용창출력 낮은 제조업 비중 높아

기사내용과는 직접 관련이 없다. / 클립아트코리아
기사내용과는 직접 관련이 없다. / 클립아트코리아

[중부매일 이완종 기자] 충북의 고용창출역량강화를 위해선 노동시장, 산업, 기업, 지방정부의 재정지출 등 종합적인 정책 방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18일 한국은행 충북본부의 '고용탄력성 결정요인의 분석을 통한 고용창출력 확충방안'에 따르면 충북지역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선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더불어 중·대기업의 유치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장년층 비율 낮고, 고령 비율 높아

충북은 경제활동인구 중 고용탄력성을 상승시키는 대졸 이상의 비중이 평균 32.9%로 전국 41.0%보다 낮았다. 경제활동인구 중 남성, 고졸 및 대졸학력자, 30~40대 근로자 비중은 장기 고용탄력성을 상승시킨다.

그러나 30~40대 근로자의 비중 또한 충북은 47.5%로 전국(49.9%)대비 낮았다.

반면 50~60대의 근로자의 비중은 높게 나타났다. 충북도내 50~60대 근로자는 37.2%로 조사돼 전국 33.8%대비 높은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50~60대의 경제활동참여는 고용증가율을 향상시키나 상대적으로 악조건의 고용도 수용하므로 장기 고용탄력성저하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고용탄력성 낮은 제조업 위주

또 도내 제조업의 비중은 2010~2016년 평균 41.5%로 전국(28.5%)대비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서비스업의 비중은 40.5%로 전국(54.2%)대비 낮았다.

도내 산업구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조업의 경우 산업구조 측면에서 서비스업에 비해 고용창출력이 상대적으로 낮다.

특히 시기별 단기 고용탄력성 추정경과 전국은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고용탄력성이 상승하고 있으나 충북은 모두 하락하는 상반된 결과가 도출됐다.

#종합적 정책 방안 필요

이에 따라 충북의 고용창출역량 확충을 위해선 중기업·대기업 유치에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됐다. 충북의 산업구조에 대부분을 차지하는 제조업의 경우 기업 규모가 고용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도내 제조업 중기업의 비율이 3.2%로 전국 1.5%보다 높았다. 또 대기업의 비율도 충북 0.3%, 전국 0.1%로 웃돌았다.

또한 대졸 등 일정 수준 이상의 학력을 소유한 근로자의 노동시장 참여를 유도하는 방안과 30~40대의 경제활동을 장려하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연구됐다.

아울러 충북은 전체 세출 중 경제개발비 비율이 평균 30%(2010~2016년 평균)로 전국 대비(24.5%) 높다. 전반적으로 높은 충북의 경제개발비 유지와 함께 양질의 일자리를 위한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분석됐다.

한국은행 충북본부 이창민 기획조사사팀 조사역은 "고용없는 성장의 문제는 2000년대 초중반 문제로 최근에는 낮은 경제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부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며 "이에 충북지역의 지속적인 경제의 성장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위해선 종합적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