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시론] 류연국 한국교통대 교수

폭염이 지속되는 23일 서울 남산에서 플리어시스템코리아의 열화상카메라 T1010으로 촬영한 서울 도심 표면온도가 40도를 훌쩍 넘기며 열섬 현상을 보이고 있다. 2018.07.23. / 뉴시스
폭염이 지속되는 23일 서울 남산에서 플리어시스템코리아의 열화상카메라 T1010으로 촬영한 서울 도심 표면온도가 40도를 훌쩍 넘기며 열섬 현상을 보이고 있다. 2018.07.23. / 뉴시스

열화상 카메라에 찍힌 도심이 온통 빨갛다. 빨간색이 38도이고 연두색은 31도이니 그야말로 찜통이다. 낮은 온도를 나타내는 푸른색이 눈에 띄지 않는다. 비 소식은 아예 들리지도 않는다. 올 장마는 짧게 끝났다는 기상 캐스터의 설명이 있을 뿐이다. 불볕더위로 인한 안타까운 뉴스들이 이어지고 있다. 어린이집 차량 안에 아이가 방치되어 사망하는 참변이 올해에도 일어났다. 사건이 터질 때는 야단법석을 떨다가도 계절이 바뀌면 잊어버리고 다시 다음 여름을 맞는다. 공사 현장이나 논밭에서 일하던 노인들이 쓰러지는 변을 당했다는 뉴스도 이어진다.

최근 몇 년간 한반도이 여름은 그야말로 불볕더위다. 지구의 지표면 온도가 상승하고 있다고는 하지만 한반도에서의 온도 변화는 훨씬 심각하다. 지난 100년 동안 세계 평균 기온은 0.7℃ 올랐지만 한반도는 1.5℃가 올라 세계 평균보다 2배가 넘는다. 폭염의 엄청난 고통을 우리에게 안겨줬던 2016년의 연평균 온도는 평년보다 1.1℃나 상승하기도 했었다. 어떤 전문가는 2016년의 불볕더위보다도 더한 더위가 올여름 이어질 수도 있다고 경고하기도 한다.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로 1994년의 더위가 가장 무더웠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2016년의 8월 더위는 그야말로 엄청났다. 2천 명 이상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했고 17명이 사망했으며 4백만 마리 이상의 가축이 더위를 견디지 못하고 폐사했고 집집마다 부과되는 전기료를 걱정해야 했다.

기온이 36.5℃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사람들이 접촉하는 모든 것들이 뜨겁게 느껴진다. 그늘에 있는 물건일지라도 그렇다. 그런데 전국적으로 기온이 38도를 넘었으니 낮에는 물론이고 열대야가 계속되는 밤 시간에도 무더위로 고통 받으며 밤잠을 설치기 일쑤다. 습도까지 높아졌으니 불쾌지수가 높아질 대로 높아져서 짜증과 스트레스도 증가할 게 뻔하다. 자료에 의하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범죄율도 증가한다고 한다. 사람들만 힘든 게 아니다. 집단으로 사육되는 가축이 폐사하고 있고 물속에서 기르는 물고기도 폐사하고 있다는 뉴스가 전해지고 있다.

불볕더위는 전 세계에 걸쳐서 사람들을 고통스럽게 하고 있다. 일본은 장마로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고 이어지는 불볕더위로 하루에만도 2천 명 이상의 온열질환자가 발생하며 사망자가 연일 이어지는 피해를 겪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LA의 기온이 42℃까지 상승하기도 했으며 캐나다의 경우는 연일 계속되는 불볕더위로 90여 명이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아프리카와 중동지방은 말할 것도 없고 북유럽 국가들도 30℃가 넘는 무더위에 시달리고 있다는 뉴스다. 중동의 오만에 있는 마을의 최저 기온이 42.6℃였다고 하니 지구가 끓고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라니냐가 발생하면 이상고온현상이 생기지 않는다는 학설은 이번과 같은 기상이변을 설명할 수 없게 되었고 폭서로 이어지는 지구촌의 기상이변을 설명하는 수많은 이론들이 등장하고 있다. 사람들은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는 엄청난 에너지를 소비한다. 이 또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확실하다. 오존층을 파괴하고 있고 대량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지만 정화작용을 하는 숲은 전 세계적으로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니 지구인들 견딜 수 있겠는가.

류연국 한국교통대교수
류연국 한국교통대교수

이런 불볕더위 속에서도 자신의 맡은 일을 해내는 이들이 있어서 우리가 더위를 피하며 살 수 있는 것이다. 근로자와 농어민이 그들이다. 또한 수많은 소방관과 경찰관들은 더 많은 땀을 흘리게 된다. 그들이야말로 불볕더위가 지속되는 것을 진정 두려워하는 사람들이다. 그들이 자신의 안전을 지키며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은 정부가 우선해야할 일이다.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라는 지시만으로 이루어질 일이 아니다. 적극적으로 예산을 투입하고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그것이 진정 국민을 위하는 복지의 출발 아니겠는가. 우리 모두가 지키려는 질서가 그들을 덜 두렵게 할 것임을 알아야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