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6월 기준 1만3천348호 집계, 충북 1천264호·충남 3천192호 등
대전 1천35호, 충북 5천288호, 충남 9천494호 등 위험수위 달해

청주시 동남지구 방향 전경 / 김용수
청주시 동남지구 방향 전경 / 김용수

[중부매일 이민우 기자] 집을 다 지었는데도 팔리지 않은 주택이 지방을 중심으로 3년만에 최대치로 기록했다.

서울과 지방의 양극화가 심해지는 모양새로, 지역별로 세분화된 부동산 대책과 처방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전국 미분양 주택이 4개월 만에 다시 6만호를 넘어섰다. 수도권에서는 미분양이 줄었지만 지방에서 2천500호 이상 늘었다.

 

#미분양·악성 미분양 갈수록 늘어

특히 악성 물량인 준공 후 미분양도 전월보다 늘어 1만3천호가 증가했다. 충남의 준공 후 미분양은 3천192호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충북의 미분양 주택수도 5천호를 넘어섰다.

국토교통부는 6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이 총 6만2천50호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전월 5만9천836호에 비해 3.7% 늘어난 것이다. 지난 2월 6만903호에서 3월 5만8천4호로 떨어진 후 줄곧 6만호를 밑돌다가 4개월 만에 다시 6만호대로 올라섰다.

이 중에서도 준공 후 미분양은 1만3천448호로 전월 1만2천722호에 비해 4.9% 늘었다.

지역별로 수도권 미분양이 9천508호로 전월 대비 3.3% 줄었다. 637호의 미분양이 새로 발생했지만 기존 미분양 물량 962호가 주인을 찾으면서 순감했다.

반면 지방은 5만2천542호로 전월 대비 5.1% 증가했다. 기존 미분양 1천884호가 해소되긴 했지만 새로 4천423호 미분양이 발생하면서 누적치는 더 늘었다.

규모별로 전용면적 85㎡ 초과 중대형 미분양은 전월(5천465호) 대비 1.2% 감소한 5천402호로 집계됐고, 85㎡ 이하는 전월(5만4천371호) 대비 4.2%(2천277호) 증가한 5만6천648호로 나타났다.

실제 대전의 미분양 주택은 1천35호, 충북 5천288호, 충남 9천494호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또한 악성 물량인 준공 후 미분양 주택도 대전 93호, 충북 1천264호, 충남 3천192호 등 위험수위에 근접하고 있다.

 

#미분양 주택, 실제 편차 크다

전체 미분양 주택도 6만2천50호로 약 2년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미분양 물량 집계가 건설사 제출 자료를 기반으로 하는데 건설사가 이를 축소하려는 경향이 있는 만큼 실제 미분양은 더 많을 수도 있다.

이처럼 주택시장의 가파른 침체를 예고하는 인·허가 물량 축소와 미분양 물량 증가는 8·2 대책에 따른 부동산 정책의 급격한 변동성에서 비롯됐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8·2 대책은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투기과열지구 재지정, 대출 규제 강화, 재건축 조합원 지위 양도 금지 등을 총망라하면서 주택시장에 적지 않은 혼란을 초래했다.

 

#'백화점식' 주택정책이 '원인'

결국 집값은 제대로 잡지도 못하면서 주택시장의 공급마저 얼어붙게 한 것은 주택시장의 안정을 '투기와의 전쟁'으로 단정 짓고 부동산 규제를 '백화점'식으로 나열한 8·2 대책 때문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함께 지방 부동산시장 냉각은 집값이 다시 오르기 시작한 서울 분위기와 상반된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지방은 미분양이 많지만 서울은 거의 없는 등 지역별 편차가 크다"며 "서울은 뉴스에도 가격이 들썩이는 등 불안한 모습이라 수요억제책이 필요하지만 지방은 미분양 적체를 해소할 지역별 완화정책, 차등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미분양 관리지역에서 공급이 지나치게 늘어날 데 대비해 미분양 관리지역 사업장의 경우 HUG분양보증료를 5% 할증하기로 했다.

보증공사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과 동향을 모터링하면서 미분양관리지역을 재조정하는 방법 등을 검토해볼 수 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