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경제가 활력을 찾지 못하고 공동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농촌의 교육기반 붕괴 또한 위험수위에 달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도시지역으로의 학생 이탈, 이로 인한 소규모학교 통폐합, 교사들의 근무 기피 등 문제점들이 연쇄적으로 나타나면서 농촌 교육 전반이 총체적인 어려움에 빠져있는 것이다.
 농촌교육의 기반붕괴를 직접적으로 체감케하는 현상은 교육수요자인 학생수 급감이다. 인구 6만 시대를 맞은 진천군만 하더라도 올해 초등학교 6학년의 경우 입학당시인 1998년 838명에서 2003년 770명으로 줄었으며 중·고등학생수도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 좀 더 나은 교육환경과 입시위주 교육의 경쟁력을 이유로 도시지역으로의 이탈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교사들의 농촌근무 기피에 따른 교원수급의 문제 또한 심각하다. 교육청의 인센티브제 도입에도 불구하고 문화적 환경이 열악한 농촌에서의 근무를 원치 않는 교사들로 인해 전반적인 농촌 교육 질 저하마저 우려되고 있는 것이다.
 최근 단양군의 경우 지난 1일자 초등교원인사로 24명의 신규교사가 배치됐으나 이 가운데 22명이 10여년 이상 휴직한데다 연령도 50~56세인 것으로 알려져 이러한 우려를 뒷받침했다. 행정·의료 등 모든 부문에서 취약한 혜택을 받고 있는 농촌주민들이 교육서비스마저 소외된다면 현 정부가 표방하는 참여와 분권에 배치된다는 주민들의 원성이 높을 수 밖에 없다.
 농촌교육을 흔드는 이러한 모든 현상들은 마치 뫼비우스의 띠처럼 연쇄적인 인과관계로 연결돼있어 대책마련이 쉽지않다. 통상 이농현상에 따른 학생수 감소로 인해 소규모 학교 통폐합이 불가피하다고 말하지만, 역의 설명도 가능하다. 즉 대부분 열악한 문화적·교육적 환경을 이유로 자녀교육을 위해 이농을 결심하고 있는 것은 '돌아오는 농어촌'을 만들기 위한 전제로 농촌 교육기반 회생의 당위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특정한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국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이 같은 농촌교육기반 붕괴에 대처하기 위해 새 정부 또한 농어촌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복지 인프라 확충을 국정과제로 설정한 바 있다. 여기에는 농어촌 교사 인센티브 제공 등 교육환경 개선 추진과 농어촌교육특별법 제정이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농촌의 교육기반을 회생시키고 양질의 교육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농어촌교육특별법의 조속한 제정 등 구조적 대책과 함께 다양한 장·단기 대책이 함께 모색돼야 한다. 최근 지식정보화 종합학습도움센터로서 미래형 학교모델을 제시, 전국적인 견학대상이 되고 있는 청원군 미원초의 사례처럼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는 교육정책도 더욱 모색돼야 한다. 또한 청소년의 교외학업 분위기 조성을 위해 청소년공부방을 운영하는 진천 광혜원면처럼 지역사회가 함께 나서는 모습도 필요하다.
 농촌교육기반 붕괴는 단지 농촌교육의 황폐화로 끝나지 않고 부메랑이 되어 도시지역의 교육 질 저하를 야기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우리 교육 전반을 심각하게 위협하게 된다. 이를 함께 고민하고 풀어가지 않는다면 우리 교육의 미래는 기약할 수 없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