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엔 잘 사용하지 않는 말이지만 지난 50∼60년대 우리사회 곳곳에서 많이 사용하던 말 중에 「사바사바」라는 말이 있었다.
 이 말의 어원(語源) 은 잘 알 수 없지만 그 말의 뜻에는 아무런 의문이 없다. 즉, 공식적으로는 잘 될 수 없는 일이 있을때 민간인이 공무원에게 또는 하급공무원이 상급공무원에게나 권력기관의 관계자들에게 사적인 이권이나 청탁을하기 위해 교섭을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바사바」란 정상적이고 보편 타당성 있는 과정을 거치기 보다는 비정상적이고 자기이익만을 좇는 모리(謨利)관계를 위해, 때론 범죄나 비위사실을 감추기 위해, 혹은 인허가 과정에서 다른 사람을 모해하려는 등등을 위해 은밀하게 뒷거래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한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고려말에서 이조중기 시대에 관직을 얻으려고 다툼을 벌이는 일이 심하였는데 이를 분경(奔競)이라 했으며 또는 엽관운동이라고도 했다. 이때에도 고관대작들의 집을 찾아가 은밀하게 자리를 청탁하며 뇌물을 전달하곤 했다.
 이같은 병폐가 심하자 이조 2대 정종(定宗)은 분경을 금하는 방법으로 사갈, 즉 사사로운 일로 윗사람의 집을 찾아가는 것을 금하는 교서를 내렸다.
 그 교서에는 고관의 집은 그 3촌 또는 4촌이거나 직속하관을 제외하고는 여하한 사람도 찾아 가서는 안된다. 특히 형조관계의 고관의 집은 그 3촌이나 4촌은 물론 직속하관도 찾아 가서는 안된다고 엄하게 다스리고 공적이거나 사적인 일이라 하더라도 관청에서 하라고 했다.
 수백년동안 이같은 분경을 금했지만 분경의 폐해는 여전했으며 이조 중엽에는 분경이란 말대신에 관절이란 말이 사용되었다. 말만 시대의 변화에 따라 바뀌었을 뿐이다.
 분경에서 관절로 또 사바사바에서 오늘날에는 리베이트 또는 로비자금이라 하여 개인 혹은 기업이나 단체는 물론 국가간에도 뒷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은밀하게 거래되는 검은돈은 늘 말썽이 되고 있다.
 햇볕정책을 추진하던 국민의 정부에서 이루어진 사바사바에 의한 최대의 뒷거래는 현대라는 대기업을 통한 정부의 대북 비밀송금 사건이 아닌가 싶다.
 국가라는 실체적을 인정하지 않는 우리의 실증법적 인식과는 달리 남북의 평화통일이라는 민족의 지상 목표를 위한 현실추구적인 입장에서 서로를 간접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한 남과 북의 거래는 다변성이 있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뒷거래에 따른 대북비밀송금의 의혹은 국민의 정부에 대한 정당성과 참여정부의 신뢰성을 위해서도 그 실체가 명확하게 밝혀져야 한다.
 따라서 노무현 대통령이 대북송금 특검법을 공포한 것은 매우 잘한 일이다. 그러나 이같은 특검법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이로인해 내홍을 앓고 있는 민주당이나 한나라당과 청와대 등 정치권이 상생의 정치를 이루어야 한다.
 대북 비밀송금에 대한 특검은 북한의 조직적인 반발과 음해를 극복하고 햇볕정책에 대한 남북대화의 뒷거래에 대한 실체적 진실을 밝혀낸후 국익과 남북관계 및 국가경제의 실익이 무엇인가를 따져본후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