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심각하지만 예방·치료대책 없어 무방비
신속 대처 필요하지만 검사기간 길어 늦어져

과수화상병이 발생한 제천 백운면의 한 과수원에서 뿌리째 캐낸 과수나무들을 땅에 매몰하는 방제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충북도 제공<br>
과수화상병이 발생한 제천 백운면의 한 과수원에서 뿌리째 캐낸 과수나무들을 땅에 매몰하는 방제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충북도 제공

[중부매일 최동일 기자] 발생 2개월도 안돼 50㏊가 넘는 과수원을 쑥대밭으로 만든 과수화상병에 대한 방제가 효과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방제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일 충북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지난 6~7월 제천과 충주지역 과수농가를 공포에 떨게 했던 과수화상병이 진정국면에 들어섰다.

이날 현재 도내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이들 지역에서 과수화상병 양성반응을 나타낸 농장은 34곳으로 매몰처리 범위가 인근 100m 이내에 있는 73농가, 53.5㏊에 이른다.

하지만 지난달 16일 충주시 앙성면의 한 과수농가 1.1㏊에서 의심신고가 들어온 이후 보름이 넘도록 추가 상황이 발생하지 않아 관계당국은 화상병의 기세가 수그러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앞서 지난 5월 29일 도내에서 처음으로 제천의 2농가에서 의심신고가 접수된 과수화상병은 한달여만인 6월26일 제천을 벗어난 인근 충주 동량면에서 발생하는 등 한때 확산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발생 인근 과수농가의 매몰작업이 빠르게 진행되는 등 방제작업이 본격화되면서 7월11일 5농가의 의심신고를 고비로 화상병 발생이 주춤해졌다.

이런 가운데 지난 25일 마지막으로 확진판정을 받은 농가를 제외한 모든 발생농가에 대한 방제작업이 완료됐으며 이 농가도 이번 주안에 매몰작업이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에 추가발생이 일어나지 않을 경우 이번 과수화상병으로 인한 도내 피해 규모는 총 73농가, 53.5㏊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이같은 규모는 과수화상병이 국내에서 처음 발생한 지난해 전체 피해규모를 넘는 것이며 올해는 충북외에도 강원과 경기 곳곳에서도 발생해 전국적인 피해규모는 크게 불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과수화상병은 감염경로가 파악되지 않고 치료약제도 없어 감염시 발생농장은 물론 인근 100m 이내의 과수나무를 모두 뿌리째 캐내 매몰하는 방식으로만 방제작업이 이뤄진다.

따라서 의심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신속한 검사로 감염여부를 파악해 방제대상을 최소화해야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해 효율적인 방제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현재 과수화상병에 대한 검사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만 가능해 올해처럼 전국적으로 발생이 집중될 경우 접수에서 판정까지 많게는 10여일 이상 걸리는 등 즉각적인 대처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이에 과수화상병 발생지역을 비롯한 시·도에서는 해당지역 농업기술원에서 곧바로 진단·검사할 수 있도록 관련 절차와 메뉴얼을 개선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올해 발생지역과 더불어 피해가 확산되면서 이에 대한 요구가 잇따르자 해당 부처에서 오는 10월쯤 관련 시스템에 대한 개선·정비를 논의하겠다는 입장이다.

발생지역에 대한 대책 마련도 피해농가를 중심으로 나오고 있는데 화상병 발생시 3년간 다른 과수작목도 심지 못하고 해당 작목은 5년간 재배할 수 없는 등 생업에 큰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다.

이로 인해 예방차원의 방제 대상농가 등에 대한 손실보상금 및 농가에서 사용하던 농자재·기계의 보상방안 등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 농가들의 주장이다.

이처럼 과수화상병 방제에 대한 지적이 잇따르자 지난달 20일 충북도의회 임시회에서 서동학의원이 방제대책 개선을 요구하는 5분자유발언을 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