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정부까지의 지역정책은 단순히 수도권을 억제함으로써 비 수도권의 발전을 촉진하려는 데 초점을 두고 있었다면 노무현 정부의 지역정책의 특징은 지방분권, 지방분산의 기조하에서 선택과 집중정책이 중심을 이룰것 같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전략의 하나로서 나온 개념은 이른바 지역혁신체계의 구축이다. 이는 지역내의 지방정부, 대학, 기업, 연구기관, 시민단체, 지방언론 등 지방의 중심적인 중추기관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축하여 지역전략산업을 육성하고 지역의 특성과 강점을 살리는 특성화된 발전전략을 추진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개념은 그동안 지방이 자립형 지방화를 추진하기보다는 중앙정부에 집중된 자원을 더 많이 분배받으려고 서로 로비경쟁을 벌이는 의존형 지방화에 머물러 온데 대한 대안으로 나온 것 같다.
 그렇다면 현 시점에서 충청북도의 지역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지역혁신체계는 어떠한 모습이 되어야 할 것이며 무슨 역할을 가정할 수 있는가?
 무엇보다도 지방정부, 대학, 기업, 지방언론, 시민단체, 연구소 등 주요 주체들이 각자 가지고 있는 인적, 물적 자원의 활용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체적인 컨소시엄구성 노력이 선결되어야 할 것이다.
 가령, 매년도 4월 지금 이 시점은 모든 자치단체들이 중앙정부에 예산로비를 하기에 정신이 없는 때이다. 자치단체 간부들은 중앙부처의 인맥을 활용하여 서울, 과천, 대전청사를 분주히 오가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중앙부처의 공무원에 대한 인맥은 자치단체 공무원뿐만 아니라 지역 대학의 교수들도 각종 정부위원회나 학회등을 통해 많은 인적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면 자치단체 공무원들이 자기 업무와 관련된 분야의 지역내 대학교수들을 평소에 업무 컨설턴트로서 활용하면서 정보교류등을 하고 각 교수들이 자기 전공 분야의 인적 네트워크를 활용하게 하며 대외활동과정에서 얻은 최근의 중앙정부의 정책방향 및 정책 정보들을 자치단체 공무원들과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
 때로는 예산확보를 위한 사업타당성에 대한 정당성 논리를 타 자치단체와 차별적으로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도 있을 것이다. 또 대학의 입장에서는 자치단체 공무원들이 업무상 일손이 부족할 때 대학생들을 인턴 또는 업무도우미로 활용하게 할 수 있을 것이며 학생들은 현장실습기회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지역의 언론은 이러한 지역자원의 활용가치 극대화를 홍보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지역내 대학에서 교수들이 해외 연수를 나가게 될 때 이들을 각 자치단체의 기업상품 및 장소 마케팅을 하는데 협조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며 대학의 학생들이 방학을 이용하여 인력난에 시달리는 중소기업들을 일시적으로 도와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렇듯 지역내 자원의 활용의 범위는 엄청나게 클 수 있으며 어떤 지역이 이러한 전략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느냐가 지역경쟁력 강화에 결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이제 중앙정부는 예전처럼 지역안배 차원에서 나누어주는 시스템이 아니라 능력있고 경쟁력 있는 자치단체에게 차별적으로 지원해 주는 정책을 견지할 것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