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폭염이 이어지며 대청호가 수온 상승으로 빙어가 폐사하고 수질을 악화시키는 녹조까지 확산되면서 피해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조류경보 관심단계가 발령된 문의수역을 비롯해 보은군 회남대교 아래 대청호도 녹조로 인해 녹색을 보이고 있다. 금강유역환경청은 회남수역도 13일 조사 결과에 따라 조류경보 관심 단계 발령을 결정할 예정이다. / 김용수
폭염이 이어지며 대청호가 수온 상승으로 빙어가 폐사하고 수질을 악화시키는 녹조까지 확산되면서 피해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조류경보 관심단계가 발령된 문의수역을 비롯해 보은군 회남대교 아래 대청호도 녹조로 인해 녹색을 보이고 있다. 금강유역환경청은 회남수역도 13일 조사 결과에 따라 조류경보 관심 단계 발령을 결정할 예정이다. / 김용수

[중부매일 사설] 대청댐은 매년 여름철마다 대량의 조류가 발생해 '녹조라떼 현상'이라는 말이 나올 만큼 수질이 악화되고 있다. 환경부 조사 결과, 대청호 본류의 경우 올해 짧은 장마와 지속되는 폭염으로 인해 7월 셋째 주부터 수온이 33℃를 넘으면서 녹조현상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최근 김은경 환경부장관이 대청호를 방문한 것도 녹조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대책은 즉흥적이었다. 김 장관은 "대청댐 수문을 열면 대청호의 녹조 문제가 해결되지 않겠냐. (수문 개방을) 검토하라"고 말한 것으로 보도됐다.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발언이다.

14억 9000만 t의 저수용량을 가진 대청호는 여름철에 물을 모아 청주지구 ·금강하류지구 ·만경강지구에 농업용수를 공급한다, 또 대전 ·청주 ·공주 ·부여 ·논산 ·장항 ·군산 ·전주 ·익산 등 충청권 식수원일 뿐 아니라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김 장관은 요즘같은 가뭄에 녹조현상을 해결한다며 수문개방을 지시했다고 한다. 녹조 현상을 해소하려면 대청댐에 보관한 물을 적어도 30% 이상은 내보내야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 현재 대청댐 저수량은 8억3500만t가량인데 이 중 3억t 가까이를 방류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럼 정작 물이 필요할 때는 어떻게 할 것인가.

충청권은 지난해 5월 지독한 봄 가뭄에 유례없는 식수대란을 겪었다. 충북 일부 지역에는 식수가 끊겨 주민들이 말할 수 없는 고통을 겪었으며 충남에는 식수, 공업용수, 농업용수가 모두 말라버려 농민들이 농사에 차질을 빚었다. 오죽하면 주민들이 나서서 대전 대덕구 계족산 봉황정과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탑산골 무심천 발원지 표지석등 충청권 곳곳에서 기우제를 지낼 정도였다. 이 때문에 문재인 대통령이 당시 금강 공주보, 영산강 죽산보 등 여섯보를 즉시 개방하라고 지시한 이후 일부 지자체가 극심한 물부족 문제에 봉착했다. 보의 수문개방으로 물을 방류해 악화된 수질을 개선하겠다는 의도지만 물부족으로 인한 대책은 간과됐다. 수문을 개방하면 보 수위 하락으로 농업용수 차질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대청댐을 개방해 녹조현상이 해결된다면 좋지만 소중한 수자원이 관리되지 못한다면 충청권 전역이 물을 못 구해 곤혹을 치르게 된다.

김 장관이 환경운동가의 시각으로 접근하려면 미봉책이 아닌 근본적인 대책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대청호 녹조의 주요 발생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는 하천변에 방치된 축산분뇨와 생활쓰레기를 차단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하·폐수처리시설 관리·확충에 집중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임기웅변 식으로 처방하려 한다면 미세먼지와 중국발 재활용쓰레기 대란 같은 일이 재현돼 자질론이 또다시 도마 위에 오를 수 있다. 해마다 연례행사로 되풀이 되는 대청댐 녹조현상을 해결하는 것은 간단치않다. 귀중한 수자원도 보존하면서도 주민들이 염려하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럴 때일수록 환경부의 전문적인 역량을 보여줘야 한다. 당장 효과만 바라보고 대청댐 방류만 고집한다면 '물부족 공포'만 확산시킨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