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분권화의 요체는 경제분권, 문화분권에 있다. 지방의 문화를 이끌어 가는 견인차는 다름아닌 지방대학이니 지방분권을 이룩하기 위해서는 필히 지방대학을 육성해야 한다.
 '사람은 나면 서울로 보내고 말(馬)은 나면 제주도로 보내라'라는 옛말이 있듯 우리나라의 명문대는 모두 서울에 밀집해 있다. 서울에 있는 대학은 비만증에 걸려있고 지방대는 빈사상태다.
 취업에 있어서도 지방대는 문전박대를 당하고 있다. 졸업후에도 명문대는 그들만의 학연을 구축하며 전문분야에서 아성을 쌓고 있다.
 지방대 졸업생들은 취업을 위해 이곳 저곳을 기웃거려야 하고 지방대에 근무하는 교수진들은 나름대로 훌륭한 학문적 업적을 지니고 있음에도 인재발탁에서 소외되는 현상을 빚고 있다.
 외국에도 수도권에 명문대학이 많이 있지만 우리나라처럼 밀집현상을 보이지는 않는다. 하버드, 예일, 스탠포드 등 미국에서 소위 동부 8개 명문대학이라 불리는 '아이 비 리그'는 모두 지방에 산재해 있다.
 우리나라에서 서울중심의 사고를 깨지않는한 지방분권은 참으로 어려운 과제다. 지방분권은 외형적 조치로만 이룩되는게 아니다. 사람마다 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서울 지향성'을 씻어내야만 지방분권이라는 시대의 화두를 해결할 수 있다. 이같은 의식의 전환은 외형적 조치 못지않게 중요하다.
 정부는 최근 전국 163개 지방대학 총장에게 '인재 추천'을 요청하는 공문을 보냈다. 지방대학의 공직 참여를 유도하고 이러한 인사를 통해 지역간 균형발전을 실현하기 위함이다.
 우리나라 정치사상 처음 시도된 이러한 조치로 지방대는 한껏 활력을 얻을 것 같다. 지방대에 근무하면서도 전문성이 뛰어나고 세계적으로도 관련분야에서 인정을 받는 교수들이 얼마든지 많다. 그럼에도 '지방대'라는 고정관념과 꼬리표 때문에 자기의 능력을 십분 발휘하지 못하고 사장시키는 경우가 지금까지 비일비재해 왔다.
 '청와대 브리핑'에 따르면 경제, 사회, 문화는 물론 외교통상, 노사문제 등 국가 현안분야와 여성, 장애인 등 인재 풀(Pool)이 미흡한 분야가 우선적 관심 대상이라고 한다.
 인재는 마땅히 국가차원에서 관리되고 발탁되어야지, 지방차원에 머문다면 행동반경은 좁아지고 지식의 활용도 또한 크게 떨어지고 만다.
 조선시대에 충청권은 기호학파(畿湖學派)를 형성하며 국가발전에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한국의 주자(朱子)라 불리는 송시열은 화양동 서원을 근거로 삼으며 학문의 기둥을 세웠다.
 그 당시에도 지방별로 과거시험 합격자를 안배하는 지방분권화 정책을 폈는데 오늘날에는 어쩐 일인지 학문의 거의가 서울에 집중되어 있다.
 지방분권을 위해서는 취업시 지방대생을 일정비율로 채용하는 할당제가 필히 이뤄져야 하고 숨어 있는 교수진에 대한 발탁도 겸해서 취해져야 한다. 세계화의 조류속에서 일류국가로 우뚝 서는냐 여하는 '지방살리기'와 인재발탁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통령 임명과 위촉직의 30% 지방출신 할당'이라는 정부의 방침이 꼭 실현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