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2017년 12월 1일 오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17 글로벌 무역인력 채용박람회에서 참석자들이 취업 정보 게시판을 확인하고 있다. / 연합뉴스
2017년 12월 1일 오후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2017 글로벌 무역인력 채용박람회에서 참석자들이 취업 정보 게시판을 확인하고 있다. / 연합뉴스

[중부매일 사설] 젊은 고급인력의 취업난이 경제 활력을 저하시키면서 한국사회에 엄청난 부담이 되고 있다. 엊그제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실업자 수를 경제활동인구로 나눠 구한 25∼34세 실업률은 지난달 6.4%였다. 거의 2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사회진출이 활발해야 할 20대 후반·30대 초반 청년층의 취업이 올 들어 바늘구멍 뚫기만큼이나 힘들어졌다. 7월 취업자 5천명은 박근혜 정부 취임1년차 7월 취업자 55만명에 비해 100분의 1 수준이다. 대학졸업장을 갖고도 일자리를 찾아 방황하는 청년들에게 결혼은 먼 나라 얘기다. 젊은이들이 장미 빛 미래를 꿈 꿀 수 없는 '헬조선'에서 인구감소는 당연한 현상이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보면 '일자리 참사', '고용쇼크' 라는 말이 허투루 들리지 않는다. 지난달 25∼34세 실업자는 33만8천명으로 7월 기준으로는 1999년 43만4천명을 기록한 후 최근 19년사이 최고치였다. 1990년대 중반 IMF(국제통화기금)사태의 후유증으로 청년실업이 급격히 늘어났을 때를 연상시킨다. 7월 기준 25∼34세 실업자는 2014년 30만5천명이었다가 2015년 28만5천명으로 감소했으나 2016년 31만9천명, 2017년 32만7천명을 기록했고 올해까지 3년 연속 증가했다. 대학졸업을 앞둔 자녀가 하루빨리 취업하고 결혼해야 안심하는 부모세대에겐 근심이 될 만한 소식이다.

25∼34세는 실질적인 취업 동향을 판단할 연령대로 볼 수 있다. 본격적인 사회진출을 준비하는 젊은 구직자는 25∼34세에 밀집했기 때문이다. 10대는 경제활동 참가율 자체가 낮고 20대 초반은 병역·학업 등을 이유로 본격적인 취업을 시도하는 이들이 상대적으로 적다. 문제는 2030세대 중 고학력 실업자가 빠르게 증가했다는 점이다. 지난달 4년제 대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보유한 실업자는 34만8천명이었다. 현재와 같은 기준으로 실업자를 집계한 1999년 이후 7월 기준 4년제 대졸 이상 학력의 실업자 수는 올해가 가장 많았다. 비싼 등록금을 내고 대학을 졸업하고도 취업전선에서 낙오된 것은 전반적인 진학률 상승과 고학력자가 선호하는 일자리 부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지만 정부의 정책 실패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소득주도성장정책이 취약층을 험지로 내몰았다면 고급 청년인력의 취업난은 제조업경기침체와 함께 정부의 '친노동 반기업' 정서 때문에 대기업의 투자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우량 중소기업도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악재가 겹치면서 일자리를 외려 줄이고 있다. 글로벌 경제가 활기를 띠면서 미국과 일본등 주요 선진국이 구인난을 겪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결혼적령기에 취업문을 두들기고 있는 청년층에게 결혼은 언감생심 꿈도 못 꿀 일이다. 이런 여건에서 '최악의 저출산'으로 우리나라 총인구의 정점 찍는 시기가 더 당겨질 수밖에 없다. 인구 급감에 따른 노동력 공백, 투자·소비 위축이 현실화되면 경제 전반이 고꾸라질 수 있다. 한국경제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4050세대가 일터에서 밀려나고 차세대 주역인 2030세대가 극심한 취업난에 좌절하고 있는 것이 대한민국의 안타까운 현실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