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첫 발생한 홍콩 조류독감과 관련한 정부 대응체제에 또 다시 허점이 드러났다.
 이때문에 초등대응은 물론이고 공무원과 군장병이 감염을 우려해 조류독감 확산차단을 위한 현장활동을 꺼리는 초유의 사태가 빚어지기도 했다.
 관·군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일을 기피한다면 과연 국민들이 누굴믿고 생업에 종사할수 있겠느냐는 걱정이 나올법도 하다.
 초등대응의 경우만 해도 조류독감이 처음 발생한 것은 지난 5~6일쯤이었으나 종계장측은 죽은 200여마리를 자체 매몰한뒤 9일 추가로 9천여마리가 폐사하자 이를 닭사육장에 보관한채 지난 10일에서야 동물병원 수의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검역원에 신고했다.
 음성군도 종계장측의 뒤늦은 신고로 일주일 뒤인 12일부터 방역대책 상황실을 설치하고 살처분 명령을 내리는 한편 가축이동 제한 조치를 취했다.
 또 충북도도 이에 따른 지침이 없다는 이유로 지난 13일 농림부에서 열린 ‘인플루엔자 대책 실무협의회’에 참석한 뒤에야 구체적인 방역 대책을 마련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처럼 뒤늦게 신고된데다 적기대응 체제를 구축하지 못한 가운데 인근지역에서도 추가 감염사실이 확인돼 양계농가에 비상이 걸린 상태다.
 이런 가운데 조류독감이 인체에 영향을 미칠수 있다는 보도가 나가자 일부공무원들과 군부대에서 현장투입을 꺼려 매몰처분은 물론 방역에도 차질을 빚고 있다는 소식은 충격적이다.
 음성군 직원들의 경우 발생초기에는 통제초소와 방역작업,매몰처분 현장에 나섰으나 최근들어 감염을 우려해 현장기피 현상이 빚어지고 있고 군부대도 통제초소에만 병력을 지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과정에서 군부대측은 음성군의 현장투입요구에 인체감염 등의 사태가 빚어질 경우 책임을 진다는 각서를 요구하자 음성군이 난색을 표명 한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이때문에 십수만마리에 달하는 매몰처분 대상이 제때 처리되지 못하면서 또 다른 확산이 우려되고 있다.
 최근 몇년동안 구제역,돼지콜레라 등 각종 가축전염병을 겪으면서 우리가 얻은 교훈은 초기대응의 중요성과 유관기관간의 유기적인 협조체계이다.
 허나 이번 사태에서 보여준 관계기관의 대응은 관리시스템의 재점검 필요성을 확인시켜줬다.
 백번을 양보해 초기대응 실패는 국내 첫 사례때문이라고 이해하더라도 관·군이 현장투입을 꺼려 작업이 지연된다는 것은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 될수 없다.
 정부가 뒤늦게나마 항바이러스제 투입, 독감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하고, 보호장구 착용 및 안전수칙에 대한 사전 예방교육 등을 실시한후 군병력을 확대 투입키로 하는 등 긴급대책 강화방안을 내놓은 것은 그나마 다행이지만 늑장대응의 책임을 면할수는 없다.
 전염병 바이러스의 경우 촌각을 다투는 시급한 사안임에도 첫 발생이후 정부대책이 나오기까지 열흘이상이 지났다.
 최근들어 각종 전염병의 이동경로가 다양화되고 신종 바이러스 출현도 빈번해지고 있어 예방만으로는 역부족이다.따라서 사태발생시 신속하고 적합한 대응책이 그나마 차선책이라도 될수 있다.
 이제라도 조류독감이 더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정부차원의 충분한 인력과 예산지원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