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가 미래다] 1. '위기를 기회로' 부산시
조선·자동차업계 불황에 1년새 1만명 실직
상의, 회원사 기업당 1~2개 신규채용 독려
시청 1층 위치 일자리센터 月2천여명 이용

일자리가 화두다. 지자체는 물론 국가가 일자리문제 해결에 나서고 있다. 경기침체 속에서 고용률은 오르지 않고, 올해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까지 겹치면서 좀처럼 해법이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중부매일은 총 8차례에 걸쳐 고용선진국 스웨덴 사례, 좋은 일자리 국내우수사례 등을 통해 해법을 찾아보고, 충북의 현실과 나아갈 방향을 짚어본다. / 편집자주 

1. '위기를 기회로' 부산시
2. 청년창업에 날개 순천시 '청춘창고'
3. 창업선진국 스웨덴의 창업생태계
4. 창업선진국 스웨덴 창업성공기업
5. 스웨덴 일자리센터 가보니
6. 충북 일자리 현실
7. 충북형 일자리정책 
8. 전문가 조언

 

'부산일자리종합센터'는 부산시청 1층 로비에 위치해 접근성을 높였다. 2010년 개소한뒤 2017년 8월 부산시청으로 자리를 옮겼다. / 김미정
'부산일자리종합센터'는 부산시청 1층 로비에 위치해 접근성을 높였다. 2010년 개소한뒤 2017년 8월 부산시청으로 자리를 옮겼다. / 김미정

[중부매일 김미정 기자] 최근 조선·자동차업계 불황으로 1년새 일자리 1만개가 증발한 부산은 고용률이 전국 꼴찌다. 하지만 위기를 기회로 극복하고 있다. 일자리문제를 지자체에만 맡기는 것이 아니라 기업, 기관, 시민이 나서서 함께 머리를 맞대 해결책을 찾고 있다.


# 기업당 1~2개씩 1만개 창출

"일자리는 시 단독으로는 절대 만들어나갈 수 없습니다. 지역내 모든 기관과 기업, 시민 여러분이 나서줘야 합니다. 한 개의 일자리라도 만들 수 있도록 좋은 아이디어를 주세요."(오거돈 부산시장)

지난달 27일, 취임 50일을 맞은 오거돈 부산시장과 부산지역 기업인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첫 상견례자리에서 이들은 최악의 침체를 겪고 있는 부산경제를 되살리기 위해 '1만개 이상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에 공동서명했다.

부산상공회의소는 6천500개 회원사를 중심으로 1개 기업당 1~2명씩 신규채용을 독려하고, 부산시도 창업·기업유치 등을 통해 조선·자동차 부문 구조조정으로 증발한 상용직 일자리 1만개 회복에 주력하기로 합의했다.

시와 상의는 매달 모여 일자리창출대책을 논의하기로 했다. 이에 앞서 일자리상황실 공동 운영도 시작했다.

지난 8월 27일, 취임 50일을 맞은 오거돈 부산시장과 부산지역 기업인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 부산상공회의소 제공
지난 8월 27일, 취임 50일을 맞은 오거돈 부산시장과 부산지역 기업인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 부산상공회의소 제공

부산시에 따르면 부산내 기업은 28만3천개. 99%가 중소기업이다.

이수일 부산시 일자리경제정책과장은 "일자리정책은 산업정책과 같이 가야 한다"면서 "차량 연비를 높이는 방법은 경량화인데 어느 하나만 줄이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부품들이 모두 조금씩 줄여야 가능하다"고 비유하면서 "일자리 역시 기업에서 조금씩 고용을 더 하고 사회적으로 확산해 함께 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어필했다.


# 시민이 기획·발굴·추진

부산시가 내세우는 '부산형 OK 일자리 사업'의 핵심은 지역의 산업구조와 고용특성을 반영해 지속가능한 일자리생태계를 만들자는 것이다.

관 주도가 아닌 시민이 일자리사업을 기획, 발굴, 추진해 지역에 필요한 중소규모 일자리사업을 만들고, 여기에 지역기업을 참여시켜 성장시키자는 콘셉트다.

돌봄서비스, 안심귀가서비스, 문화해설사 등 사회적 일자리 4만개를 만들고, 평생학습과 연계해 일자리전문가 양성 플랫폼을 구축한다는 구상이다.

황남연 시 일자리경제기획팀 주무관은 "마을도서관, 마을공원 등 지역밀착형 SOC사업을 중심으로 시민이 기획하고 참여해 지역일자리를 만들고, 여기에 지역기업이 함께하면 단기간에 경기부양, 일자리창출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면서 "구도심의 도시재생사업과도 연결된다"고 설명했다.


# 일자리상황실 등 일자리 최우선

이수일 부산시 일자리경제정책과장. / 김미정
이수일 부산시 일자리경제정책과장. / 김미정

부산시 시정의 핵심과제는 '일자리가 풍성한 경제혁신도시 조성'이다.

10년전부터 일찌감치 조직개편에 '일자리'를 앞세웠다. '일자리경제본부'에서 최근 '일자리경제실'로 승격시켰다. '경제통상국' 등 '경제'를 앞세우는 통상의 지자체와는 다른 모습이다.

또, 일자리창출을 위해 민선 7기 첫 추경에 653억원을 편성했다. 시장이 직접 일자리상황을 점검하는 '일자리상황실' 가동을 시작했고, 오는 11월 전문가 30여명으로 구성된 시장직속 '일자리위원회'를 출범할 예정이다.

이달 중순께 '부산형 일자리 종합대책'을 발표한다.

 

# 일자리센터, 시청 이전 접근성 높여

부산시청 1층 로비에 위치한 '부산일자리센터' 내부. / 김미정
부산시청 1층 로비에 위치한 '부산일자리센터' 내부. / 김미정

'부산일자리종합센터'는 부산시청 1층 로비에 있다. 2010년 3월 개소해 2017년 8월 시청 로비로 이전했다.

접근성이 좋아지자 구직상담, 취업특강, 스터디 등에 참여한 이들이 월평균 2천450명에 달한다.

올해 상반기 구직인원 1천103명, 구직인원 5천835명, 알선 4천270건 등을 통해 2천907건을 취업으로 성사시켰다.

구인·구직 상담 및 알선, 채용행사, 취업역량강화교육 등 주요 기능은 타 지자체들과 비슷하지만, 접근성이 좋고 청년구직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스터디룸(2개)을 운영하는 것이 눈길을 끈다.

부산일자리센터 관계자는 "시청 1층으로 이전한 이후 타 지자체에서 벤치마킹을 많이 온다"고 귀띔했다.

 

# 구직활동비 등 청년층 중점

청년구직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부산일자리지원센터에서는 스터디룸 2개를 운영하고 있다. / 김미정
청년구직자를 끌어들이기 위해 부산일자리지원센터에서는 스터디룸 2개를 운영하고 있다. / 김미정

부산시의 전략과제중 하나는 '청년 희망일자리 확충'이다.

이를 위해 청년구직자(만18~34세)들이 구직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자격증 취득, 학원비, 교재비 등 구직활동비를 월 최대 50만원씩 연 240만원을 지원한다. 상반기 2천명이 구직활동비를 받은데 이어, 하반기 1천100명을 추가 선발할 예정이다. 취업면접을 위한 정장대여서비스도 눈길을 끈다.

정부의 청년내일채움공제를 업그레이드해 부산지역 중소기업에 취업해 3년간 근무하면 본인적립금 500만원에 부산시(600만원)와 정부지원금을 더해 총 2천400만원의 목돈을 받을 수 있는 '부산청년희망적금2400'도 있다. 장기근속과 자산형성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 연 700명이 혜택을 받고 있다.

산단내 중소기업에 신규채용된 청년근로자에게 전기차 임차비를 월 35만원 한도에서 지원한다.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