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원자재 가격 폭등 현상이 심화되면서 국내 산업계에도 원자재 파동이 일어 기업들이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원자재난을 겪고 있다.
 특히 건설업계에서는 성수기인 3월에 접어들면서 원자재 수요는 늘어나는데 철근, H 형강 등 철강재와 모래 재고가 바닥나 건설현장에서 공사중단 사태가 잇따르고 있다니 우려했던 `3월 대란설`이 현실로 나타나고 있는 셈이다.
 이런 판국이니 가뜩이나 자금난에 허덕이던 중소기업들의 사정이 오죽할까.
 기업은행의 1월중 중소제조업 동향에 따르면 원자재 조달사정이 곤란해졌다는 중소기업체의 비율은 지난 1998년 4월이후 6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한다.
 자금난도 악화일로여서 자금사정이 곤란해졌다는 업체의 비율이 지난해 12월에 비해 5.3%포인트 늘어난 35.0%에 달한다.
 이러다가 중소기업체들이 연쇄 부도사태를 맞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원자재 파동의 불똥은 식음료업계에까지 튀어 캔, 페트병 등 용기납품업체들도 납품가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니 식음료 제품을 중심으로 한 가격인상 도미노현상으로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가격이 오르고 물량이 달리는 원자재난은 이미 지난해부터 시작된 것으로 각국은 일찌감치 비상 수급대책에 들어갔다고 한다.
 자국내 수요충당을 위해 미국은 철강업계가 정부에 요청한 고철수출 제한을 검토중이고 일본 철강업계는 자원개발 사업에 직접 뛰어들어 안정적인 공급원 개발에 주력하고 있으며 인도와 중국도 원자재 바터제 도입을 통해 원자재난 극복을 시도하고 있다.
 우리 정부도 비상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단기적으로는 할당관세 대상 품목 확대를 통해 수입원자재 관세 인하를 도모하는 한편 정부 보유 비축물량의 공급을 확대하는 방안 등이 제시될 수 있겠으나 장기적인 대책도 필요하다.
 앞으로 세계경기가 회복되고 중국의 고성장으로 원자재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이므로 긴눈으로 원자재 비축 및 안정적 수급을 위한 효율적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자원이 없어 거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 산업구조를 재검토해 볼만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