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도민들의 눈과 귀는 온통 오는 ‘4.15 총선’에 쏠려 있다.
 총선은 대선과 달리 ‘지역 일꾼’을 뽑는 것이기 때문에 이같은 관심은 상궤(常軌)를 벗어난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이번 제 17대 총선의 경우 일반적인 총선 분위기에 탄핵 정국까지 맞물리면서 온 나라가 요동을 치고 있다.
 어디를 가도 ‘친노 대 반노’, ‘민주 대 반민주’, ‘개혁 대 보수’, ‘부패 대 반부패’ 등의 용어가 갑론을박 식으로 난무하는 등 사회 전체가 흥분된 모습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분위기에 참여하지 못하고 낙담과 절망의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이 있다. 도내 농촌지역은 이달초순 내린 100년만의 폭설로 극심한 피해를 입었다.
 충북도는 폭설피해 복구율이 90%를 넘어섰다고 발표했으나 가장 심한 피해를 입은 청원군은 아직 절반도 복구되지 않았다고 밝히고 있다.
 이같은 통계수치는 조사 방법상의 차이라고 하더라도 피해 농민들은 더욱 절망케 하는 것이 있다. 정부는 지난 23일 폭설피해 농가 복구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정부안은 ▶축사피해 지원대상을 소규모 시설( 1,800㎡ 미만)로 한정하고 ▶계사의 경우만 현행 1,800㎡에서 2,700㎡ 미만으로 상향 조정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밖에 정부안은 2㏊ 이상 대규모 농가(융자 70%, 자부담 30%)에 대해 호당 특별위로금 200만원을 별도 지원키로 했다.
 정부가 이같은 안을 발표한 것은 재원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고, 이 경우 대규모 시설은 어느정도 자력복구 능력이 있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정부의 이같은 발표가 농촌현실을 도외시 하고, 말 그대로 주먹구구 식으로 결정했다는 느낌을 지을 수 없다.
 우선 이같은 기준을 적용할 경우 도내 폭설피해 축산농가 2천954 가구 가운데 151 가구가 보조금 지급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인삼 재배농가들도 불만을 터뜨리기는 마찬가지다. 이들에 따르면 인삼의 경우 5~6년에 한번꼴로 생산을 하는 특수성 때문에 최소 1만3천~1만5천여평의 농토가 필요하다.
 그러나 정부의 안은 이같은 현실을 전혀 고려하지 않아 도내 인삼 피해농가의 90%는 보조를 받지 못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폭설피해가 농작물이 재해보험 대상이 되지 않는 점도 좀처럼 납득하기 어렵다. 누가봐도 폭설피해도 엄연히 자연재해로부터 발생한 것이다.
 특히 대부분의 시설 하우스는 폭설이 자주 내리는 동절기에 집중적으로 가동된다. 그러나 관련 규정은 홍수나 태풍 피해만을 인정하고 있다. 도무지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는 것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지금 청주·청원지역 폭설피해 농가들은 이른바 ‘대책위’를 구성하고 지난 25일부터 도청 앞에서 천막농성을 벌이고 있다.
 정부나 충북도는 피해농민들의 천막농성을 ‘생떼’로 치부하면 안된다. ‘오죽하면’이라는 시각으로 접근, 그들의 주장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최근 정부는 장애인을 상대하는 공무원은 수화(手話)를 필수적으로 익혀야 한다고 밝혔다. 농축산 관련 중앙 공무원들에게도 이같은 태도와 정신자세가 필요하다.
 지금 도내 폭설피해 농민들은 보조금의 많고 적음보다도 ‘현장의 소리’를 들어주는 공무원을 더 그리워 하고 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