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열양상을 보이고 있는 중국의 경기를 진정시키기 위해 긴축정책을 실시하겠다는 중국총리의 말 한마디가 세계 금융시장을 온통 뒤흔들어 놓았다.
 우리도 주식시장이 폭락하고 환율이 급등하는 등 큰 충격을 감내할 수 밖에 없었다.
 앞으로 중국의 금리가 인상되고 환율 페그제가 폐기되는 등 긴축정책이 가시화될 경우 그 파급효과가 어떨지 상상이 가고도 남는다.
 극심한 내수침체에 시달리고 있는 우리경제가 수출까지 발목이 잡힐 경우 과거의 IMF(극제통화기금)사태 못지 않은 위기에 봉착하게 될 것이다.
 중국의 시중은행들이 일부 언론의 보도처럼 정말로 신규대출을 중단했는지를 놓고 말들이 많지만 중국의 긴축은 그 불가피성이 이미 예고돼 왔으며 앞으로 한단계한단계 차분하게 진행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전세계의 자본 집중으로 세계의 공장으로 등장한 중국은 현재 과잉투자로 설비가 남아돌아 덤핑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이로인해 무역적자가 나기 시작했고 은행들은 부실채권 증가로 위기를 맞고 있으며 부동산 거품까지 일어 긴축처방을 내리지 않을 수 없는 형편이다.
 미국을 제치고 우리의 최대 수출국으로 등장한 중국의 성장이 둔화될 경우 한국경제의 유일한 버팀목인 수출이 타격을 입어 우리경제가 크게 흔들릴 것은 불문가지다.
 지난해 우리의 무역수지 흑자의 대부분을 중국에서 낸데다 우리 기업들 대다수가 중국에 현지공장을 갖고 있으니 그럴 수 밖에 없다.
 가장 우려되는 것은 대외적으로 유가 폭등현상이 재연되고 있고 대내적으로는 설비투자와 공장가동률, 경기선행지수가 다시 마이너스로 반전됐는가 하면 신용불량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으니 잠시 오름세로 돌아섰던 경기가 다시 하강세로 반전되는 더불딥 현상을 보이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경제에 거품이 빠질 경우 국제 원자재가격이 안정되고 썰물처럼 빠져 나가던 우리기업들의 중국행이 둔화되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을 것이다.
 또한 우리경제의 과도한 중국 의존도를 낮추어 수출선을 다변화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정부는 중국의 긴축정책을 필연적인 것으로 간주하고 중국발 쇼크를 최소화하는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특히 이번 위기를 산업공동화를 방지하고 내수를 촉진시키는 전화위복의 계기로 승화시키는 지혜를 발휘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