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7대 국회 개원을 앞두고 도내 당선자들이 자신의 의정활동을 도울 보좌관 진영을 속속 갖추고 있다. 현행법은 국회의원 한 명당 4급 2명, 5급 1명, 6, 7, 9급 각 1명 등 모두 6명의 보좌관과 비서진을 두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들 급여는 모두 국가로부터 지급된다.
 이런 가운데 최근 확정된 도내 8명의 정책 보좌관중 6명은 전직 언론인, 나머지 2명은 이른바 386 운동권 출신인 것으로 알져지고 있다.
 동종 업계의 과거 인연으로 우선 축하를 보낸다. 국회의원이 언론인 출신을 정책 보좌관으로 선호하는 것은 익히 과거부터 알려져 왔다. 중앙 정치권만 봐도 언론인 출신이 의원 보좌관 신분으로 대거 활동하고 있고, 이들중 일부는 이런 경험을 살려 ‘여의도’에 입성한 사례도 적지 않다.
 정치권은 언론인 출신이 기획, 홍보, 정책발군 면에서 다른 직업 출신자들보다 강점을 발휘한다 말하고 있다. 이런 ‘정치권의 칭찬’는 각종 선거를 치를 때마다 어느정도 입증돼 온 것이 사실이다.
 또 보좌관 개인적으로는 언론을 통해 추구하던 ‘사회적 봉사’를 이른바 입법보좌를 통해 간접적으로 달성한다는 의미도 담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지역 언론인이 대거 의원보좌관으로 전직하는 현상이 반드시 ‘또 다른 방향의 사회적 봉사’에 있다고는 보지 않는다.
 우선 이들 대부분이 이른바 중견 언론인이고, 또 신문사 기자 출신이라는 점을 주목하고자 한다. 왜 중견으로 성장한 지역 신문사 기자가 대거 의원 보좌관으로 인생항로를 변경하고 있는가.
 물어볼 필요도 없이 이는 열악한 근무환경과 낮은 보수 그리고 점점 떨어지고 있는 ‘신문의 질’에서 비롯되고 있다.
 이는 지역신문 경영자나 일선 기자 모두에게 반성을 넘어 맹성을 촉구하고 있다. 지금 도내 일간지 기자들은 어느 회사 가릴 것 없이 10시간이 넘는 근무시간, 밝히기도 창피한 급여수준, 1인다역의 ‘멀티적 임무’ 등 온갖 악성 근무환경에 시달리고 있다.
 이런 열악한 근무환경은 자연히 신문의 질에 영향을 주고 있다. 기사의 깊이, 기획, 대안제시 면에서 지금의 지역 일간지는 과거보다 훨씬 후퇴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렇다고 이 모든 책임이 신문사 경영인에게만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일선 기자들도 이 책임에서 벗어날 수 없다. 기자들은 제 사회현상을 사실적이고, 대안적이며 그리고 미래의 방향과 가치를 제시해야 한다.
 그리고 이같은 책무를 하지 않을 때 이른바 ‘사이비 기자’라는 소리를 듣게 된다. 그러나 지금의 지역 일간지 종사자들은 열악한 근무환경-의욕상실-신문의 질 하락이라는 시대환경의 톱니바퀴에 틈만 나면 전직을 엿보고 있다. 신문 경영인이나 기자 모두를 슬프게 하는 내용이다.
 최근에 의원 보좌관에 내정된 사람들은 개인적인 사정도 있겠지만, 이런 악순환의 끝에서 고민을 하다 직업적인 전향을 한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이제 ‘신문기자의 의원 보좌관 대거입성, 경사인가 호구지책인가’라는 외부의 비아냥을 듣지 않기 위해서라도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
 그러려면 신문 경영인이나 일선기자 모두 맹성을 해야 한다. 그 출발은 물어볼 것도 없이 신문의 질 향상이다. 다른 대안이 있을 수 없다. 그리고 신문 경영인들은 인력감축을 통해 손익을 맞추는 식의 ‘뺄셈 경영’을 더이상 추구해서는 안된다. 신문업은 사람만이 유일한 희망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