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대중교통체계 개편 시행 첫 날은 한마디로 ‘엉망’이었다. 준비와 홍보가 미흡한 상태에서 시행예정일만 맞추다 보니 생겨난 당연한 결과다. 졸속 전시행정의 표본이라 할 수 있다. 새 교통카드시스템이 작동되지 않아 출근길에 지하철과 마을버스의 무임승차가 이뤄졌다. 이 카드시스템은 지난달 말에도 지하철에서 오작동돼 승객들에게 불편을 주었으니 예견된 일이다. 일부 간선버스에서는 노선 변경 안내방송조차 없어 승객들이 불편을 겪었으며 예정된 노선대로운행하지 않은 버스들도 있어 출근길 승객들을 당황하게 했다. 무엇보다도 시민들이어떤 버스를 타야할지 몰라 갈팡질팡하다가 지각하는 사태가 속출했고 끝내 택시를타고 출근한 사람도 적지않았다
 
 시행 첫날 새로운 대중교통체계 시스템의 전반적인 효율성이나 성과를 두고 왈가왈부하기는 아직 이르다. 기존의 대중교통체계를 크게 개편한 것이므로 익숙해지려면 과거보다는 다소 불편이 따를 것으로 본다. 그러나 너무 성급했다. 탁상에서그려진 청사진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다 보면 예기치 않은 결과가 나오기 마련이다. 따라서 이같은 시행착오를 막기 위하여 시행 전에 충분한 모의 시험을 통해 점검하고 또 점검하는 치밀함을 보여야 한다. 이번 사태는 바쁘게 움직이는 도시민들을상대로 실험을 한 꼴이 됐다. 소비자중심의 서비스 행정이 아니라 공급자 중심의 행정이라는 지적을 면할 수 없다.
 
 시험과정에서 불편한 점들이 노출됐다면 시행일을 늦추는 과감한 결단과 여유도 보여야 한다. 낯선 교통체계에 관한 홍보를 충분히 했는지도 의문이다. 버스 정류장 여기저기 배치된 홍보요원들조차 우왕좌왕하던 시민들에게 어느 버스를 타라고 속시원한 대답을 못했다고 한다. 시민들의 발인 대중교통 체계를 확 바꾸는 일이라면 지하철역이나 은행창구 등에 자료를 비치하고 시홈페이지에 게재한 정도로홍보를 다했다고 생각해선 곤란하다. 시의 행정조직을 총가동해서라도 시민 누구나 쉽게 알도록 직접 반복 홍보하는 적극성을 보여야 한다. 버스 배차간격 등을 알려 주는 버스관리시스템(BMS) 운영과 수도권 연계 환승 요금 등 남은 과제도 조속히 해결해야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