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 이후 1천만 원 내외 수준에서 정체

[중부매일 김성호 기자] '농가소득 증대'를 최고의 목표로 삼고 있는 '농협의 존재 이유'에 대한 의문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농업소득이 10년째 지지부진한 이유에서다.

국내 농가소득 중 '농업소득'은 1994년 이후 10년 넘게 1천만원에서 1백만원 안팎으로 정체되고 있다. 심지어 2017년 농업소득은 2015년 1천126만원보다 120만원 가량 적은 1천5만원으로 떨어졌다. 농가가 키운 농산물이 '제값'을 받지 못함에 따른 것이다.

농협중앙회는 지난 2012년 농협경제·금융지주회사 출범 사업구조 개편 이후 '판매농협 구현'이라는 목표 하에 농협 경제사업 활성화를 추진해왔다.

특히 2020년까지 중앙회가 조합 출하물량의 50%이상을 책임 판매하겠다는 계획까지 내세웠다.

농협중앙회의 '경제 활성화 추진 계획'은 2020년까지 원예의 책임판매 비중은 39%, 양곡 59%, 축산은 64%까지 높이는 게 목표로 설정돼 있다.

하지만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 박완주 의원(더불어민주당, 천안을)이 16일 국감에 앞서 농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품목별 책임판매 비율' 자료에 따르면 현재 책임판매비율은 양곡을 제외하고 목표치의 절반 수준에 그치는 실정이다.

원예는 2017년 기준 농가의 농협출하액인 8조9천244억원 중 19.2%인 1조7천111억원, 양곡은 농가의 농협출하액 2조4천352억원 중 37.2%인 9천51억 원을 책임 판매했다. 축산의 책임판매 사업량은 출하액 5조8천971억원 중 29.5%인 1조7천382억원 그치고 있다.

이에 박 의원은 "농협의 가장 큰 존재이유 즉, 농가소득 증대를 위해 농축산물의 제값을 보장하는 것"이라며 "농협이 사업구조 개편이후 실질적으로 판매농협을 구현해왔는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2020년까지 3년밖에 남지 않았지만 목표치의 절반밖에 오지 못했다"며 "조합 출하물량 판매확대가 회장 공약사항인 만큼 유통구조 혁신으로 2020년 목표치 달성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것"고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