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국정운영의 가장 핵심적 기조 중 하나가 ‘혁신’이다. 실제 현 정부는 역대 어느 정부보다도 강한 의지를 가지고 강도 높은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19세기를 풍미했던 자유주의를 재구성한 이른바 신자유주의의 세계적 조류와 함께 작지만 효율적인 정부, 지역사회가 소유하는 정부 그리고 국가의 균형발전이 참여정부가 추구하는 정부혁신의 모토라고 할 수 있다. 그 혁신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개방형 공무원제, 경쟁을 통한 기업가형 정부, 지역혁신체제 구축 등은 일반 국민들에게도 더 이상 낯설지 않게 다가온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공부문의 개별적 노력만으로는 ‘큰 시장’을 통한 생산적 정부 구현에 한계가 노정되고 있다. 오늘날 이른바 거버넌스(국정관리) 체제하에서는 정부뿐만이 아닌 다양한 혁신주체간 공동체 정신과 협력적 실행이 시장과 계층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이 되고 있다.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가격경쟁이, 계층제적 정부관료제는 행정명령이 조정의 메카니즘이라면 공동체적 네크워킹의 중심메카니즘은 ‘신뢰와 협력’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진정한 혁신을 달성하기 위한 정부의 주된 과제는 네트워킹의 능력을 키우고 새로운 형태의 상호간 협력을 강구하는 것이다.
 신뢰가 전제될 때 그 대상이 개인으로서의 상사 동료 부하이든 부서 또는 부문단위이든 상대방의 존재가치가 존중되고, 자발적 참여와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활성화될 수 있는 장이 마련될 수 있다. 공공부문에 있어서도 정부, 전문연구기관, 학계 및 민간전문가 등이 공동체를 구성하고 문제의 전반에 대한 상호 공유를 통하여 합리적이고 심도있는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 기존의 정부주도형보다 훨씬 더 효율성이 제고될 수 있다. 게다가 정부부문에 울타리주의가 상존함으로써 업무상의 중복과 비효율을 흔하게 경험하게 될 때 그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게 와 닿는다.
 다행스럽게도 최근 충북도의 경우 규칙과 절차 등 형식에 집착했던 행정관행을 타파하고 성과 내지는 결과 중심의 평가체제를 도입하고 있다. 도정의 주요과제들 또한 관중심의 행정편의주의적 계획에서 수요자인 주민중심으로 혁신되는 사례를 경험하게 된다.
 조직개편, 감축관리와 같은 큰 틀의 혁신도 중요하지만 업무수행 과정에서 작은 것들부터 차근차근 변화시켜 나가는 지혜와 실천이 소망스럽다.
 가정과 소속 조직으로부터 나아가 지역사회로 한발 한발 내딛는 혁신의 발걸음은 비록 더디고 한편으로 답답하지만 내실있게 기초가 다져진 그 길은 탄탄대로가 될터이니…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개혁과 쇄신 그리고 혁신으로 이어지는 각종 정책들이 세계 어느 국가에서도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다양하게 행해졌다. 생존과 번영을 위해서는 혁신이 중요한 것이라는 사실과 함께, 그만큼 성공하지 못하고 구호로만 그친 것임을 반증하는 것이라는 점도 명심할 필요가 있다.
/ 충북테크노파크 전략산업기획단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