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청권 식수원인 대청호의 녹조 모습. / 중부매일DB
충청권 식수원인 대청호의 녹조 모습. / 중부매일DB

[중부매일 사설] 충청권 젖줄인 대청호는 공업용수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무엇보다 충청권 450만 명의 '식수원'이다. 이 때문에 해마다 여름철 장마로 온갖 부유물이 떠내려 오거나 폭염이 이어지면서 녹조현상이 심각해지면 대청호 수질관리 대책에 비상이 걸린다. 이를 막기위해 K-water 는 대청호의 주요 수질을 빅데이터로 예측하는 '대청수계 통합수질예측 시스템'이 운영한다. 그동안 수돗물에서 냄새물질로 인한 피해가 터지면 사후 대처하는 방식이었다면 이번 시스템 구축으로 선제적 대응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대청수계 통합수질예측시스템이란, 수질·수량·기상 등의 빅데이터를 활용해 수돗물 원수의 냄새물질 농도를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모델을 적용, 이를 정수장 관리자와 공유함으로써 사전에 냄새물질 유입을 인지하고 처리할 수 있는 과학적 물 관리 시스템이다. 하지만 인공지능(AI) 기반 모델을 도입한다고 해서 대청호 수질이 깨끗해 질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다. 하수처리장 위탁업체들이 돈을 벌겠다는 욕심이 앞서면 대청호 수질이 얼마든지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환경부가 발표한 환경사범 기획수사 결과는 주요 하천·호수의 수질관리가 얼마나 엉망인지 보여주었다. 8곳의 공공 하·폐수 처리장에선 수질측정 상수 값 임의변경, 시료 바꿔치기, 영점용액 바꿔치기, 최대 측정가능 값 제한 등 '원격감시장치(Tele Monitoring System, 이하 TMS)를 수시로 조작했다. 위탁업체 중에는 '전압 값'을 바꾼 이력정보가 남지 않도록 장치 운영을 '비밀모드'로 바꾸는 신종조작수법까지 구사해 환경부 감시의 눈을 피했다.

대청호도 예외는 아니었다. 옥천군 산하 F하수처리장의 위탁운영업체는 최종처리수가 아닌 미처리 하수를 저장탱크에 이송하면서 저장탱크 상단에 설치된 바이패스(by-pass) 배관을 통해 빗물 맨홀로 방류하는 수법으로, 2013년 1월부터 2018년 5월까지 6년간 총 1,600여 회에 걸쳐 약 18만 톤의 미처리 하수를 무단 방류했다. 오염된 물은 고스란히 대청호로 흘러들어갔다. 충북 음성의 모 하수처리장에서도 미처리 하수를 우회 배관을 통해 무단 방류했다가 적발됐다. 방류된 물은 남한강을 오염시켰다.

이 같은 일이 수년간 발생한 배경은 위탁업체의 '셀프검증'과 환경당국의 솜방망이 처벌 때문이다. 환경부가 위탁업체에 측정기 관리대행업무까지 맡기고 TMS를 조작했을 때 지자체로부터 얻는 이익이 수억 원에 달하는 반면 적발 시 받게 되는 벌금은 5천만 원에 불과하다보니 식수원에 오염도 높은 미처리하수를 무단 방류하는 것이다. 환경부는 뒤늦게 미세먼지, 폐기물, 유해화학물질 등 사회적으로 민감한 오염물질 배출 분야에 대해서는 환경특별사법경찰단의 수사 등을 확대하고 중대 환경범죄사범의 처벌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또 뒷북행정이다. 이들에 대해 처벌을 강화하는 것도 좋지만 위탁업체가 스스로 TMS를 관리하는 것을 제도적으로 막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오염된 하수 방류는 되풀이되고 수돗물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을 높아질 수밖에 없다.

키워드

#사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