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 확보 난항' 통빈 건물로 2년간 개점휴업
지난해 6월 중국 취항 앛두고 사드보복 여파로 중단
조치완화후도 선령 합의 기준 부합…선박 확보 지연

대산항국제여객터미널 전경.

[중부매일 이희득 기자] 서산 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이 지난 2016년 준공된 후 2년 5개월여 동안 운영이 지지부진한 상태로 방치되고 있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당초 올해 상반기 대산항과 중국 룽옌항을 연결하는 국제여객선이 취항할 예정이었지만 여객선 취항이 잠정보류 됨에따라 국제선 여객터미널이 휴점상태로 텅비었다.

준공된지 2년이나 지났지만 국제여객터미널 내부는 1·2층 입·출국장는 오가는 사람 없이 여전히 텅빈 건물로 삭막하게 방치돼 있는 실정이다

이는 지난해 중국의 사드보복으로 사업추진이 전면 중단된 이후 선박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다 신규 선박 건조에 최소 2년이 소요되기 때문에 그 사이 운행할 대체 선박이 필요하지만 대체 선박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대산항-룽옌항 항로 개설은 지난 2010년 11월 제18차 한·중 해운회담에서 합의한 것으로 국내 중국항로 중 최단거리(339km) 항로로 지난 2013년부터 3년여 동안 344억 원을 들여 대산항에 대지 3만 7천989㎡, 건축면적 7천463㎡ 규모의 터미널과 여객 부두를 준공했다.

또한 양 국은 선박 종류를 여객과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카페리'로 결정하고 한중 합작법인 '한성카페리(주)'를 설립해 지난해 6월 취항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취항을 3개월 앞두고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에 따른 중국의 보복 조치로 사업 추진이 무기한 연기됐다.

이후 사드 보복 조치가 완화되고 양 국이 올해 초 중국 쿤밍에서 열린 제25차 한·중 해운회담에서 투입 선박의 선령 기준을 합의하면서 대산항 국제 여객선의 연내 취항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됐지만 또 다른 암초를 만났다. 양 국이 합의한 선령 25년 미만 선박을 전세계 어디에서도 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새 선박 건조에 소요되는 2년 동안 다른 선박을 빌려 운행해야 하는데 처음부터 새 선박으로 취항할 경우 사업자 측의 경영자금과 채산성 등의 문제로 추진이 어려운 상황이다.

사업자는 올 6월 국내 대선조선과 여객선 건조 의향서를 체결했지만 대체 선박 확보가 지연되면서 정식 건조 계약을 맺지 못하고 있다.

한 관계자는 "선박 브로커들을 통해 유럽이나 필리핀 등 여러 나라에서 대체 선박을 찾고 있지만 선령 기준보다 노후된 선박이 대부분이라서 연내 취항은 어려운 현실"이라며 "관계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업하고 지연 여부와 관계없이 국제 여객선 취항 준비와 중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서산시는 지난 2일 서산 베니키아호텔에서 서산 대산항의 미래 발전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2018 서산 대산항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는 '평화 경제시대를 대비한 서산 대산항의 역할 및 발전전략'이란 주제로 국내 해운항만물류 석학 및 관련 업체, 단체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5개 주제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이뤄졌다.

맹정호 서산시장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과 시대적 흐름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미래로 향하는 서산 대산항을 함께 고민해보고자 정책세미나를 개최했다"며 "제시된 전략들을 활용해 서산 대산항이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 등과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특히 이태휘 교수는 주제발표에서 현 정부의 신북방정책 추진에 맞춰 서산 대산항을 중심으로 하는 남북물류협력 방안을 제안했으며 이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로써 서산 대산항-남포,해주항 컨테이너항로 신설, 남,북,중 카페리항로 개설 등 남북 해상운송 루트 다변화 방안 등을 언급하고 이를 시작으로 단계별 남북물류협력 로드맵을 제시했다.

발목이 잡혔던 서산 대산항 국제여객터미널의 서산 발전 견인차 역할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충청권 첫 국제 여객선의 연내 취항이 불투명해지면서 서해안 관광 사업들이 잇따라 차질을 빚고있다.

훈풍에 돛은 달되 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활성화를 위해 보다 철저한 수요창출 요소 발굴에 지혜를 모아야할 시점이다.

더욱이 대산항 여객터미널이 정상 가동이 되면 관리 분야를 비롯해 관세청 등 각급의 국가기관 파견요원까지 줄잡아 300명이 상주할 것으로 보인다. 가족까지 포함하면 적어도 1천여명의 인구유입의 요인이 생긴다. 서산시의 경쟁력 강화에도 큰 플러스 요인임은 두 말할 필요도 없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