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일자리진단] 6. 김영재 ㈜씨드모젠 경영지원팀 부장

김영재 씨드모젠 경영지원팀 부장은
김영재 씨드모젠 경영지원팀 부장은 "구인난·취업난 문제는 고급 인력들의 타시도 유출에 따른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에서 비롯되고 있다"며 "인재들의 유출을 막기 위해 행정기관과 기업, 학교가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 이완종

[중부매일 이완종 기자] 현재 충북의 고용시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다. 도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들의 구인난과 구직자들의 취업난 문제는 이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발생하고 있다.

충북은 지난해 하반기 중소기업 미충원 인원이 3천300여명 수준이다. 이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주요 원인으로는 임금·복지 등 불일치 문제, 기업이 원하는 능력과 구직자의 역량간 불일치, 구인·구직 정책수요·공급자간 정보전달 불일치 등으로 손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김영재 씨드모젠 경영지원팀 부장은 "기업의 입장에서 충북의 고용시장은 오히려 인력이 부족한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이 같은 구인난은 고급·전문적 기술을 요구하는 의학 바이오 부문의 인재들은 대부분 타시도로 유출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충북은 태양광·신에너지, 화장품·뷰티, 유기농·식품, 신교통·항공, ICT융합 등 6대 신성장 동력 산업을 바탕으로 수 많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힘쓰고 있다. 그러나 이들 산업을 바탕으로 한 기업들의 대부분은 지속적인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 신성장 동력 산업 기업들은 도내 주력 산업으로 강조되고 있지만 정작 일할 사람이 없어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

김영재 부장은 "수도권으로 유학을 떠난 충북의 인재들이 다시 돌아오는 비율은 매우 낮은데 여기에는 이들 인재들을 끌어들일 만한 매력적인 기업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며 "많은 기업들이 지역의 우수한 인재들을 원하지만 대부분 중소기업으로 구성된 충북의 구조상 임금 등의 현실적인 부분에 부딪쳐 인재들을 채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한 청년구직자들의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도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을 심화시키는데 일조하고 있다. 기업들의 구인난과는 별개로 구직자들의 취업난 문제는 청년들의 '중소기업 기피'에 따른 결과라는 설명이다. 행정적인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기업유치를 통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나서고 있지만 도내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청년들의 인식은 긍정적이라고 볼 수 없다.

실제로 청주상공회의소 충북인적자원개발위원회에서 대학생 1천700여명을 대상으로 기업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중소기업에 취업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단 235명뿐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하지 않는 이유로는 전공불일치가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뒤를 복리후생, 근무지 접근성, 연봉 및 인지도 순으로 집계됐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인식 개선도 필요한 시점이다.

김영재 부장은 "지역의 중소기업이 공공기관이나 대기업에 비해 열악한 근무환경이라는 것은 사실이지만 최근에는 중소기업에서도 나름대로 직원들에게 좋은 복리후생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며 "씨드모젠의 경우 직원들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주는 등 구성원들의 소속감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청년층이 중소기업을 외면하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그 중 사회적인 시선문제 등의 선입견 문제는 인식의 전환은 꼭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결론적으로 충북에 뿌리깊게 박힌 근본적인 문제 해결 없이 지금과 같은 '기업유치'만으로는 일자리 미스매치 등의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없다는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김영재 부장은 "인재를 채용하지 못한 기업은 결국 기업 경쟁에서 도태되고 도태된 기업의 직원들의 복리후생은 나빠진다. 결국 복리후생이 나쁜 기업은 지역의 인재들에게 외면받기 때문에 악순환이 지속될 수 밖에 없다"며 "이런 문제는 결국 기업이 자력으로 해결하기엔 쉽지 않은 문제"라고 피력했다.

마지막으로 김영재 부장은 "충북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의 기업이 잘되야 한다"며 "기업이 잘되면 고용이 늘어나고 늘어난 고용만큼 지역경제도 살아나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김 부장은 "이를 위해 기업 뿐만 아니라 행정기관과 대학이 머리를 맞대 해결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