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정화·안정성 뛰어나 미·일·EU는 이미 기반 구축

[중부매일 최동일 기자] 올 겨울 최악의 미세먼지로 인해 대기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충북도가 미세먼지를 줄이는 수소차 보급 확대를 위해 팔을 걷었다. 친환경에너지로 이미 선진국들이 한발 앞선 행보를 보이고 있는 수소차는 세계 수준과 국내 여건의 격차가 크지 않아 미래성장산업으로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내년에 처음으로 수소차가 도입되는 충북으로서는 갈길이 멀기만 하다. 이에 수소차의 가능성과 주요국가의 관련 상황 등을 살펴보고, 중앙정부 및 충북의 수소차 보급 확대 정책과 현황을 2회에 걸쳐 점검한다. / 편집자

이시종 충북지사가 도청 주차장에서 수소연료전지차를 시승하고 있다. /충북도 제공

충북도는 지난 20일 국내유일의 수소차 연료전지 스택 생산업체인 현대모비스 관계자와 대학교수 등 수소에너지분야를 대표하는 산·학·연 인사 20여명을 초청, 수소산업 전문가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수소충전소 설치 등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수소차 보급에 나서는 도가 수소차를 비롯한 수소산업 육성을 위해 마련한 자리로 낮은 경제성 극복과 수소경제 실현 방안 등이 중점 논의됐다.

전세계적 추세이면서 국내 일부 지자체 등에서 가시화되고 있는 수소산업에 충북도가 뒤늦게라도 뛰어들었다는 출발신호인데 늦은 만큼 갈 길은 멀기만 하다.

이미 미국과 일본, EU(유럽연합) 등 선진국은 물론 G2로 부상한 경제강국 중국 등에서는 수소연료자동차를 비롯한 수소산업 육성을 통한 수소경제 구현에 나서고 있다.

이들은 탄소규제 등 지구온난화 및 화석자원으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를 위해 친환경의 대표주자인 수소에너지에 주목하고 있다.

유럽은 지난 2012년 수소차와 충전소 보급을 위해 약 14조7천억원을 투입하기로 하고 지난해말 현재 독일 35곳, 영국 15곳 등 약 100여개의 충전소를 구축·운영하고 있다.

지난 2014년 세계 최초로 국가차원에서 수소산업을 에너지기본계획에 포함시켜 구체적 실행에 들어간 일본은 관련법 개정 등 상용화를 위한 기반 조성에 힘을 쏟고 있다.

미국은 오는 2050년까지 자동차의 27%를 수소차로 대체하기로 하고 지난 2014년부터 매년 2천만달러를 수소충전소 마련에 투자해 지난해까지 56개를 구축했다.

국가별 신재생 에너지 이용 비중

국내에서도 울산, 광주, 창원 등 경남 등의 자지체에서 수소차 보급확대를 위한 관련 사업을 전개하는 등 발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 충남, 강원, 인천 등도 수소산업에 눈을 뜨고 있다.

이처럼 친환경에너지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수소차는 무엇보다 배기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 것은 물론 최근 국가적 골칫거리인 초미세먼지를 줄이는 공기정화기능을 갖추고 있다.

현대차가 개발한 넥쏘의 경우 차량 1대가 1시간 운행할 경우 성인 42.6명이 1시간 동안 호흡할 수 있는 공기를 정화시킨다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이다.

수소차의 작동원리는 차량 연료인 수소가 연료전지인 스택을 통해 공기중의 산소와 결합해 차량을 움직이는 전기를 발생시키는데 이 과정에서 공기정화가 이뤄지는 것이다.

또한 같은 전기를 이용하지만 전력을 직접 충전하는 전기차에 비해 연료충전시간이 많게는 50배에 이를 정도로 단축되며 충전후 주행거리도 2배에 달한다.

다만 차량가격이 세금감면을 제외하더라도 7천만원을 상회하고 충전소 1곳을 만드는데 30억원 가량이 소요되는 등 초기비용이 많이 드는데다가 충전소 관련 규제와 수소 안전성에 대한 잘못된 인식도 풀어야 할 과제다.

이런 까닭에 산업자원부 등 중앙정부에서는 내년에 보조금 등을 통해 차량 4천대와 충전소 30곳을 늘리는 등 오는 2020년까지 차량 1만대 보급, 충전소 100곳 설치라는 기반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함께 현재 국내외에서 차량연료로 쓰고 있는 LP가스보다 수소가 자연발화온도 가 더 높고 강력한 확산성으로 폭발 위험이 더 낮으며 수소차에 사용되는 일반 수소는 수소폭탄 등의 삼중수소, 중수소와는 전혀 다른 것이라는 점을 알리고 있다.

키워드

#수소차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