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몽·재물로 운수대통
신통력 지닌 길한 동물

창원 천선동 성주사 돼지상.
창원 천선동 성주사 돼지상.

[중부매일 이지효 기자] 개의 해인 무술년을 보내고 길몽과 재복을 상징하는 황금 돼지의 해인 기해(己亥)년이 밝았다.

십이지의 열두번째 동물인 돼지. 돼지해는 육십갑자에서 을해(乙亥), 정해(丁亥), 기해(己亥), 신해(辛亥), 계해(癸亥) 등 다섯 번 순행한다. 이중 2019년은 기해(己亥)년에 해당하며 기해년의 십간 '기(己)'가 황금색을 상징해서 '황금 돼지해'라 부른다. 해시(亥時)는 오후 9시에서 11시, 해월(亥月)로는 음력 10월이며, 해방(亥方)은 북서북(北西北)에 해당하는 시간과 방향을 지키는 시간신(時間神)이자 방위신(方位神)에 해당한다.

황금 돼지의 해인 '기해년'을 맞아 천진기 국립전주박물관장에게 돼지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봤다.
 

# 돼지꿈 꾸면 '복권 사러가자'

우리 나라는 예로부터 집집마다 돼지를 길렀다. 어쩌다 돼지꿈을 꾸면 재수 좋은 꿈을 꾸었다고 기뻐했다. 장사하는 사람들은 돼지가 새끼들을 품에 안고 젖을 빨리는 사진을 걸어 놓고 일이 잘되기를 빌기도 했다. 상점에는 새해 첫 돼지날(上亥日)에 문을 열면 한 해 동안 장사가 잘 된다는 속신도 있다. 죽어서도 돼지혈(穴)에 묘를 쓰면 부자가 된다고 믿어왔다. 이처럼 한국 사람들은 예로부터 돼지를 부(富)와 복(福)의 상징으로, 돼지꿈을 재운(財運)과 행운(幸運)의 상징으로 여겨왔다. 많은 사람들이 돼지해를 맞으면서 무언가 행운과 재운이 따를 것으로 믿는 것도 이 때문이다.

 

# 신화적 신통력 지인 동물

돼지는 신화(神話)에서 신통력(神通力)을 지닌 동물, 제의(祭儀)의 희생(犧牲), 길상(吉祥)으로 재산(財産)이나 복(福)의 근원, 집안의 재신(財神)을 상징한다. 한국 신화에 등장하는 돼지는 신에게 바치는 제물임과 동시에, 나라의 수도를 정해주고, 왕이 자식이 없을 때 왕자를 낳을 왕비를 알려줘 대를 잇게 하는 신통력을 지닌 동물도 전해진다. 삼국사기(三國史記) 고구려 유리왕편, 고려사(高麗史) 고려세계(高麗世系)에 돼지가 고구려의 수도 국내성과 고려의 수도 송악을 점지해준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산상왕(山上王) 편에서 산상왕은 아들이 없었으나 돼지의 도움으로 아들을 낳았다는 기록이 있다. 이들은 보통 돼지가 아니라 하늘의 제사에 쓰이는 제물의 돼지이다. 제물로 쓰인 돼지는 신통력이 있고, 신의 뜻을 전하는 사자(使者)의 상징으로도 나타난다. 희생에 쓰이는 돼지가 신이한 예언적 행위를 한 것으로 나타난다.

 

# 제전(祭典)의 희생(犧牲) 의미

우리는 굿이나 고사 등을 지낼 때 상 위에 돼지머리를 놓은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면 돼지는 언제부터 제물로 쓰였을까?

돼지는 일찍부터 제전에 희생으로 쓰여진 동물이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하늘과 땅에 제사를 지낼 때 쓰는 희생으로 교시(郊豕)에 관한 기록이 여러 번 나온다. 삼국사기 제사(祭祀)조에 보면 '고기 古記'를 인용해 "고구려는 항상 삼월 삼일에 낙랑의 구릉에 모여 사냥하고 돼지와 사슴을 잡아 하늘과 산천에 제사한다"고 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십이월 납(十二月 臘)조에 보면 산돼지가 납향(臘享)에 제물로 쓰였다는 기록이 있다. 오늘날에도 무당의 큰 굿에서나 동제(洞祭)에는 돼지를 희생으로 쓰고 있다. 또한 각종 고사 때는 어김없이 돼지머리가 등장한다. 그래서 시월 상달 고사철에 푸줏간에 '고사용 돼지머리 있음'이라고 써 붙일 정도이다. 집에서 지내는 고사나, 개업 같은 행사 때면 우린 의례 돼지머리를 가장 중요한 '제물'로 모신다. 이처럼 제전에 돼지를 쓰는 풍속은 멀리 고구려부터 시작해서 오늘날까지도 전승되고 있는 역사가 깊은 민속이다.

 

# 길상, 복, 집안의 재물신의 상징

'돼지 같은 녀석' 이렇게 욕을 하면서도 한국인은 꿈에 본 돼지는 대단한 귀물(貴物)로 친다. 만일 돼지에 개마저 덧붙이면 그 욕은 사뭇 상소리가 되는데도 돼지꿈은 용꿈과 같은 항렬이다. 한국인이 갖는 동물꿈 가운데서 돼지는 용과 더불어 최상의 길조(吉兆)라는 것을 누구나 다 알고 있다. 돼지꿈과 용꿈은 길몽의 쌍벽이다. 용은 누구나 알다시피 상상의 동물, 왕권의 상징이다. 따라서 그것은 권력을 나타낸다. 용꿈은 그래서 태몽 중의 으뜸이다. 장차 크게 이름을 떨칠 사내애를 낳게 될 꿈이 바로 용꿈이다. 거기에 비해서 돼지꿈은 부의 상징이다. 집안에 모시고 믿음을 바치던 '업신'이 현실의 재물신(財物神)이라면, 돼지는 꿈속의 재물이다. 어쩌면 돼지꿈은 용꿈보다 한수 위인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돼지꿈은 단적으로 길조와 행운의 상징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거기다 돼지는 다산(多産)까지 겸하고 있다.

돼지그림이나 돼지코는 번창의 상징이나 부적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장사꾼들에게는 '정월 상해일에 장사를 시작하면 좋다'는 속신이 있다. 이처럼 돼지가 재물과 관련된 것은 돼지가 가계의 기본적인 재원(財源)이었기 때문이며, 그 한자의 '돈(豚)'이 '돈(金)'과 음이 같은 데에 연유한다. 장사하는 집에서는 곧잘 돼지 그림을 문설주 위에 그려 붙였다. 돼지가 한배에 여러 마리씩 새끼를 낳고, 잘 먹고 잘 자라는 강한 번식력 때문이었다. 즉 사업의 번창을 기원하는 것이다. 이렇게 돼지가 풍년이나 번창을 가져온다고 하는 인식은 돼지 저금통 등 오늘날에도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 반면 탐욕·더럽고 우둔한 동물

그런가하면 돼지는 탐욕스러운 측면이 강조되어 지하국(地下國)의 괴물로 등장하며, 속담에서 돼지는 대부분 더럽고 게으르며 우둔한 동물로 묘사되고 있다.

돼지에 관한 설화는 몇 가지 있는데, 여러 지방에서 비슷한 내용으로 전해지고 있다. 강원도 금화군의 '금돼지와 최치원', 전북 순창군의 '원님 마누라를 잡아가는 금돼지', '금돼지 자손' 등은 모두 비슷한 이야기이다. 도술을 부리는 금돼지가 부인을 잡아가 아내로 삼았는데, 돼지가 가장 무서워하는 사슴가죽으로 물리치고 탈출했다는 내용이다. 여기에서 돼지는 사람들을 괴롭히는 대상이며, 탐욕스럽고 혐오감을 느끼게 하는 괴물로 등장한다.

천진기 국립전주박물관장은 "돼지는 상서로움과 탐욕스러움의 서로 반대되는 속성을 갖춘, 이른바 모순적 등가성(矛盾的 等價性)을 지니고 있는 동물이기도 하다"며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돼지에 대한 인식이 바뀔 수 있으니 기왕이면 재운, 다산 등 좋은 뜻으로 해석하고 밝아오는 기해년 모두 대박나시길 기원한다"고 밝혔다. 

 

# 문화에 따라 달리 들리는 돼지 소리

꿀꿀(한국)

오잉크 오잉크(영어권)

부-부(일본)

헝헝(중국)

운인(베트남)

흐류흐류(러시아)

크노르(네덜란드)

 

# 길몽의 돼지꿈 해몽

돼지를 붙잡아 매어 두었다. (호흡이 맞는 사람이 집에 들어온다)

돼지 목을 누르고 다리를 부러뜨린다. (경쟁, 재판에서 이긴다)

똥통에 빠진 돼지를 막대기를 건진다. (재수 있는 꿈이다)

남의 집 돼지를 자기 집으로 끌고 온다. (복권당첨, 결혼, 계약 등으로 사업, 생활이 개선되고 불행이 극복된다)

돼지를 실어다가 우리에 몰아 넣는다. (재물이나 돈이 생긴다)

토실토실한 돼지를 쓰다듬는다. (태몽이며 부자가 될 자식을 낳는다)

새끼를 낳는 것을 보거나 쓰다듬는다. (태몽이다)

돼지가 따라오거나 끌어안는다. (명예가 올라가거나 입심양명한다)

키워드

#돼지띠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