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주산업단지 전경. / 중부매일DB
청주산업단지 전경. / 중부매일DB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16일 처음으로 열린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수소차를 2022년 약 8만대까지 확대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이같은 수소차 보급규모는 며칠전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기자회견에서 밝힌 2022년 6만7천대보다 1만3천대가 더 늘어난 것으로 수소차를 비롯한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의지가 읽혀진다. 홍 부총리는 또 수소차·연료전지 분야를 양대 축으로 수소의 생산·저장·운송 및 활용·안전 등 전 분야를 아우르는 추진 전략을 마련하겠다며 에너지 분야에서의 수소산업 육성 방침을 강조했다.

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에서 혁신성장은 이제 새로울 것이 없지만 수소경제에 각별히 관심이 쏠리는 것은 충북의 미래 먹거리와 직결돼 지역경제 차원에서 소홀히 할 수 없는 사안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최근 지역경제를 둘러싼 여러 여건들이 우려스럽게 변화하면서 충북경제도 새로운 변환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과 상황을 맞고 있어 지역 경제지도의 새로운 중심이 될 수소산업에 대한 관심도는 더 높아지고 있다.

지역의 경제지표 중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수출(-9.4%)과 수입(-10.3%)이 함께 줄어든 것인데 수출주력 상품인 반도체의 경우 지난 12월에 전년동기 대비 27%나 감소했다.

이처럼 수년간 지역의 돈줄 역할을 했던 반도체 경기의 올해 전망이 어두운 가운데 가격하락에 따른 수출감소가 본격화되면서 물가 인상, 다른 업종들의 활력 저하와 더불어 경기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더 큰 문제는 글로벌 시장의 경기침체가 점점 가시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물경제 주요지표와 경제전망들이 예고하고 있는 G2, 미국과 중국의 동반침체가 현실화되고 양국의 무역마찰이 더해진다면 수출위주 경제구조를 가진 충북의 몸살은 예상외로 심각할 수 있다. 물론 단기간내 급격한 하락 가능성은 떨어지지만 지역경제의 체질 변화가 아쉬운 대목이다.

충북경제가 변화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갈수록 커지고 있는 지역소득의 역외유출에 있다. 현재 18.7% 가량으로 파악되고 있는 지역총생산의 역외유출은 지역내 소비시장에 직격탄을 날리면서 지역경제 성장을 위축시키는 주범이다. 또한 내수기반 서비스업 발전의 발목을 잡아 지역민들이 외지에서 돈을 쓰게 만들면서 지역내 관련산업의 성장 기회를 빼앗는 악순환을 낳고 있다. 충북연구원이 최근 밝힌 올 충북경제 전망에서 지역생산의 지역소득화를 위한 정주여건 개선 필요성을 거듭 강조한 것도 같은 배경이다.

정주여건 개선으로 대표되는 지역소득화는 각종 경제지표와 체감경기를 겉돌게 만든 지역경제와 서민경제간 괴리를 해소하는 한편 그동안의 양적 성장을 뛰어넘어 질적 성장으로 가기 위한 첫걸음이기도 하다. 더구나 충북경제는 201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됐던 투자유치가 건설단계를 지나 생산단계로 이어지는 시점을 맞고 있어 지역소득화의 고삐를 바짝 죄어야 한다.

지금부터라도 든든한 내수시장을 갖추지 못한다면 앞으로도 어디서 시작됐는지, 어디로 흘러갈지도 모를 외풍(外風)에 노심초사해야만 하는 신세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키워드

#사설 #충북 #경제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