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역명문고 육성을 위한 첫 '지역미래인재육성 TF회의'가 7일 충북연구원에서 충북도와 충북도교육청 실무 담당자들이 참석해 열렸다. 비공개 회의를 마친 임택수 도정책기획관과 이광복 도교육청 교육국장이 회의결과를 기자들에게 브리핑하고 있다. / 김용수
지역명문고 육성을 위한 첫 '지역미래인재육성 TF회의'가 7일 충북연구원에서 충북도와 충북도교육청 실무 담당자들이 참석해 열렸다. 비공개 회의를 마친 임택수 도정책기획관과 이광복 도교육청 교육국장이 회의결과를 기자들에게 브리핑하고 있다. / 김용수

시작부터 우여곡절을 겪고 있는 '충북 명문고 육성' 논의가 최근 첫 걸음을 뗐다. 수차례 회의 날짜를 조정·연기하고서야 겨우 첫 만남을 가진 충북도와 충북도교육청은 '첫술에 배부르랴'는 말처럼 기대에 못미치는 분위기속에 회의 정례화를 합의하는데 그쳤다. 그나마 성과랄 수 있는 것은 양 기관이 모두 오송·오창지역에 교육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향후 논의 대상지역을 좁혔다는 성과는 있었지만 양측의 이견을 확인하는 자리였다는 평가가 더 무겁게 느껴진 첫 만남이었다.

문제는 이날 회의에서 확인된 이견이 이번 명문고 육성 논의의 핵심이라는 것이다. 양측이 서로 유리한 출발점을 차지하기 위해 첫 면담에 이르기까지 힘겨루기를 벌였다는 점에서 난항이 예상됐지만 분기에 한번 회의를 갖는 것으로는 논의의 진척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만큼 양측 시각차가 큰 것인데 새로운 학교 설립 및 육성을 염두에 두고 있는 충북도와 기존학교 등의 운영과 교육방법 변화를 통한 육성을 생각하고 있는 도교육청간의 입장 차이는 수월성과 보편성이라는 교육방향의 큰 틀과 맥을 같이한다.

회담 테이블에 앉기는 했지만 사실 명문고 육성 논의는 시작부터 불안감을 안고 출발했다. 공식적으로 이 문제가 불거진 것이 양 기관의 이해관계가 충돌한 '고교 무상급식' 협의과정이었기 때문에 지루한 밀고당기기가 이어질 가능성도 높다. 또한 '논의 시작'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협력체계 구축 등 미래인재 육성 추진에 함께 나서겠다'는 대원칙만을 제시해 명문고 육성과 관련된 아무런 밑그림도 없이 논의가 시작됐다. 그런 만큼 앞으로 양측의 이견과 시각차를 어떻게 풀어나갈 것인지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더구나 미래인재, 명문고 등 논의의 중심에 있는 개념에서부터 양 기관이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어 이같은 우려가 더욱 더 피부에 와닿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래인재 육성은 지역 교육계가 풀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다. 따라서 양 기관은 머리를 맞대고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논의에 기울여야 한다. 성적과 합격으로 재단되던 과거와는 달리, 요즘에는 다양한 관점의 인재들이 요구되고 있고, 명문대와 고시 합격자 배출외에도 보다 뛰어난 창의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이 과제인 만큼 이 모든 것들을 끌어안을 수 있는 절충점을 찾아야만 한다.

후보지로 좁혀진 오송·오창의 경우 반도체·바이오·제약·연료전지 등 신성장산업이 집약돼 있고, 수년내 인구 1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의 성장거점이다. 그러나 지금도 외지에서 우수인력들이 몰려들고 있지만 그들의 교육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여건이 턱없이 떨어진다. 충북 전체로도 지난해 교육때문에 외지로 나간 인구가 전년보다 900명이나 늘어 순유출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양 기관의 샅바싸움에 허비할 시간이 없는 것이다. 나만의 정답을 미리 갖고 마주앉아서는 아무런 결실이 나올 수 없다. 만남의 횟수도 늘리고 보다 포괄적이고 적극적으로 논의에 나서야 할 까닭은 바로 내것만을 고집하는 그들의 자세에 있는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