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병 표준운영절차 구체화… 방역대책본부·총괄팀 운영

[중부매일 이규영 기자] 충북 오송에 위치한 보건의료행정타운에서 24시간 가동되는 긴급상황센터(EOC)가 운영된다.

긴급상황센터는 국내외 감염병 위기에 발맞춰 컨트롤타워 기능을 수행, 관리·감독뿐만 아니라 위기상황 초동대응, 관계기관과의 실시간 소통 등 총괄·조정 역할을 맡는다.


◆실시간 감염병 관리 '앞장'

보건복지부(장관 박능후)와 질병관리본부(본부장 정은경)는 지난 8일 긴급상황센터 완공 기념식을 개최했다.

지난 2015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유행 이후 국가방역체계 개편 일환으로 운영됐던 긴급상황센터는 질병관리본부 내 임시공간에 설치돼 있었다. 그러나 이번 별도 건물 신축에 따라 정식으로 이전해 개소하게 됐다.

긴급상황센터는 각각 5개의 공간으로 나뉘어 운영된다. 메인룸에서는 감염병 위기대응 표준매뉴얼에 따라 중앙방역 대책본부가 운영된다. 총괄팀 등 비상근무자를 70명 규모로 수용할 수 있다. 또 긴급상황 발생 시 주요 회의를 진행하는 상황판단실, 24시간 교대 상황요원이 위치해 감염병 신고접수 및 중앙방역대책본부 지원업무를 수행하는 상황관리실이 운영된다. 중앙조정실에서는 각 실에 대한 영상회의, 상황정보표출시스템 영상·음향 등 조정업무를 수행한다. 외부방문자를 대응하고 내·외부 교육을 진행하는 교육홍보실도 생겼다.

지난해 메르스 국내 유입사례 대응에 따른 후속조치도 진행된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미진했던 메르스 의심환자 정의 기준을 개선하고 감염 전파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신종감염병 대응 표준운영절차를 구체화했다. 이를 위해 주요 검역소에 역학조사관을 상시 배치할 수 있도록 질병관리본부 역학조사관을 30에서 43명으로 증원한다. 또 지방자치단체 감염병 담당자 교육 내용도 역학조사·위기대응 중심으로 개편한다.

오는 2023년까지는 중앙·권역 감염병전문병원 등 진료시설을 신설하고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 등을 연계한 신종감염병 전문치료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날 기념식을 찾은 이낙연 국무총리는 "감염병 위기 대응은 범정부 차원의 유기적 협력이 필요한 국민적 과제"라며 "질병관리본부를 중심으로 관계부처와의 협력을 통해 철저히 대응해달라"고 강조했다.


◆직제개편으로 유기적 연계 강화

긴급상황센터는 ▶위기대응총괄 기능 미흡 ▶신종감염병 전담부서 부재 ▶검역-방역체계 연계 미흡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직제개편을 추진했다.

우선 위기대응총괄과는 위기대응생물테러총괄과로 개편된다. 신종감염병 관리기능은 신종감염병대응과로 이관되고 위기대응 및 생물테러대응 총괄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원인불명 질병, 생물테러 초기대응 및 센터 전반 기획·총괄기능을 강화한다.

생물테러대응과는 신종감염병대응과로 바뀐다. 생물테러감염병을 비롯해 메르스, 신종인플루엔자, 신종감염병증후군 등에 대한 예방 관리업무를 수행한다. 또 생물테러대응계획, 비축물자 관리, 생물안전특수복합시설 등 기존 기능은 유사업무 담당부서로 이관된다.

검역지원과 소속도 변경된다. 기존 감염병관리센터에서 운영하던 검역관 교육, 해외감염병 조사·연구 기능 등을 긴급상황실로 이관한다. 이를 통해 위기상황 발생시 위기대응체계와의 유기적 연계를 추진하고 검역-방역-지역사회로 이어지는 체계를 마련한다.

긴급상황센터 관계자는 "검역업무가 긴급상황센터로 이관됨에 따라 위기상황 발생 시 효율적으로 대응, 감염병 대비·대응체계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며 "향후 시·도 보건정책과, 보건소, 감염병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감염병 대응 교육 및 중앙-지방자치단체 합동 신종감염병 대응 훈련 등을 통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감염병 대응 협력체계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