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세종시교육청이 오는 12월까지 만 5세 아동 중 희망하는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 생존수영 교육을 시범운영한다. 사진은 수영 전문 강사로부터 수업을 받고있다. / 세종시교육청<br>
세종시교육청이 오는 12월까지 만 5세 아동 중 희망하는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 생존수영 교육을 시범운영한다. 사진은 수영 전문 강사로부터 수업을 받고있다. / 세종시교육청<br>

세월호 5주기를 맞아 '학생 생존수영' 교육의 중요성이 거듭 대두되는 가운데 일부 지역사회에서 협조는 커녕 뒷짐만 지고 있어 논란을 자초하고 있다. 더구나 수영장 사용 여부 등 지역별로 교육여건이 천차만별이어서 학생 생존수영에 대한 관심을 더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015년부터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도입된 학생 생존수영 교육은 수영을 못하더라도 물에 빠졌을 때 살아남을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치고 익히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즉 해난사고 등 비상시 학생들의 안전대처 능력 기르는 것으로 생존을 위해 필수적인 교육이다.

이런 까닭에 교육시행 첫해부터 전국적으로 큰 반향속에 빠르게 확산됐지만 정작 4년째를 맞은 올해 청주시 등에서는 뒷걸음질을 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교육대상 인원이 계속 늘어나는데 교육을 실시할 수영장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학생교육을 맡은 교육청 산하 충북도학생수영장을 제외한 일반 수영장들이 학생들의 이용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면서 교육차질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인구 90만명에 가까운 청주시에 학생을 위한 수영장이 달랑 1곳에 불과한 것도 문제지만 생존수영 교육의 필요성을 감안하면 다른 수영장의 비협조는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

더구나 이들이 학생들에게 개방하지 않는 이유로 일반 이용자들의 불만과 민원제기를 거론한다는 것은 주객전도와 다르지 않다. 지금 시설을 이용하는 이들의 불편보다 미래 이용자이며, 사회가 지켜줘야 할 어린 학생들의 안전이 당연히 우선돼야 한다. 그 어떤 것도 안전보다 중요하지 않다. 학생들이 생존수영을 익히기 위한 기회를 만들어주지는 못할 망정, 발목을 잡아서는 안된다. 수영장 운영·관리를 맡은 기관에서 먼저 이해를 구하고 관철시켜야 한다. 수영교육을 위한 공간이 부족한 현실에서 그나마 최선의 선택을 하는 데 모두가 일조해야만 한다.

충북도내 다른 시·군들의 사례를 살펴봐도 청주 지역사회의 비협조는 유난스럽다. 대부분 자지체가 운영하는 이들 지역 수영장은 학생들에게 문을 활짝 열고 있다. 인구수 등에서 차이가 나지만 대전시의 경우는 비교불가 수준이다. 시교육청에서 보유·관리하는 2곳과 교내에 설치된 2곳 등 4곳의 수영장이 오로지 학생들만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올해 수영장이 포함된 다목적체육관 2곳이 문을 열 예정이다. 여기에 더해 새로 학교 수영장 1곳을 더 지을 예정이라는데 비용 문제로 관리주체 선정을 고민하는 등 처한 상황의 차원이 다르다.

생존수영의 필요성과 효과는 앞서 이를 시행하고 있는 여러 나라들이 입증하고 있으며 안전교육의 필수항목으로 자리잡았다. 우리사회에서도 수난사고, 특히 학생들에게 피해가 집중된 사고가 되풀이되면서 제도 도입은 무난하게 진행됐다. 이제 다음 단계는 이를 정착시키는 것으로 학교만의 힘으로는 안되는 일이다. 지역사회가 나서서 함께 움직여야 한다. 부족한 시설을 더 늘리는 일에 교육당국과 지자체가 손을 잡고, 교육기회 확충에 기관·단체 등 지역이 힘을 보태야 한다. 생존수영 교육이 말잔치로 끝나서야 대한민국 안전을 운운할 수 없는 것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