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부는 22일 충북 오송C&V센터에서 문 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하는 등 충북을 바이오헬스 산업 전진기지로 선포했다. / 충북도제공
정부는 22일 충북 오송C&V센터에서 문 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하는 등 충북을 바이오헬스 산업 전진기지로 선포했다. / 충북도제공

우리나라 미래먹거리의 대표주자로 꼽히는 '바이오헬스 산업' 글로벌 전진지기로 충북이 주목받고 있다. 지난 22일 충북 오송에서 열린 '국가비전 선포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은 바이오헬스의 국가주력산업 육성 의지를 언급한 뒤 충북의 육성전략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연간 4조원 이상의 투자계획과 함께 '지금이 세계시장을 앞서 갈 최적의 기회'임을 강조했다. 이는 충북의 바이오헬스 산업 성장 가능성과 직결된다. 관련산업의 기반 및 인력 수급, 유관기관 입지 등 성장 여건이 다른 지역보다 뛰어난 충북에 호기가 왔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바이오헬스 산업에서 충북, 특히 오송이 차지하는 비중과 가능성은 매우 크다. 2017년 기준 생산규모와 인력분포 전국 2위에 투자규모는 전국 3위이며 성장속도는 선두를 달리고 있다. 발전 가능성은 향후 10여년간 예정된 8조원이 넘는 대규모 투자 계획이 말해준다. 기업체 집단화 입지여건과 인력양성 계획, 관련 지원시설·기관 유치, 산·학·연·관 연계를 통한 생태계 구축 등을 망라하고 있다. 더구나 식약처 등 의료관련 6대 국책기관이 모여있는 오송 1단지는 대한민국 바이오산업의 핵심으로 향후에도 구심점 역할이 예상된다.

이날 선포식에서 이시종 지사가 밝힌 '충북 바이오헬스산업 육성전략'은 정부의 육성 방침과 맥을 같이한다. 문 대통령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한 '성장 전주기에 걸친 혁신생태계'의 효율적 조성과 운영을 위해서는 관련산업 전반의 집적화가 필수적이다. 또한 '최적의 기회'를 살리기 위한 발빠르고 공격적인 투자가 이뤄지려면 대단위 부지문제가 해결돼야 한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 지정된 국가산단으로는 바이오 관련기업 요구 부지의 1/3밖에 해결이 안된다. 기업들의 투자계획을 소화하기 위해서라도 조속한 오송3 국가산업단지 조성이 최선인 셈이다.

더구나 지구 지정 준비가 마무리돼 본격적으로 단지조성에 착수하기만 하면 된다. 이 경우 기존 1·2단지와 함께 500만평의 대규모 바이오단지가 마련되고 충주의 75만평 산단도 같은 클러스터로 묶을 수 있다. 기업활동을 받쳐주는 인력수급도 관련 교육기관 유치·설립 등 구체적 계획과 함께 10년뒤 5만명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당장 모자라는 관련업체 인력이 2만명인 것을 감안하면 업계의 인력난에 숨통이 예상된다. 이같은 전략과 계획은 바이오헬스산업의 국가적 육성과 함께 충북 발전의 밑거름이라는 점에서 기대를 키우는 것이다.

이날 발표된 정부 육성전략은 구체적 투자계획 등 각론이 미비해 구상대로 이뤄질지 유동적이다. 또한 업계에서 요구하는 규제개혁이 동반되지 않는 한 뜬구름이 될 수도 있다. 인력육성도 전문성이 담보돼야 한다. 한마디로 갈길이 멀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충북의 성장 가능성이 크고, 할일이 많다는 것과 다르지 않다. 국가적 바이오산업 육성 방향이 잡힌 만큼 이제 이를 현장에서 풀어내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지금까지 앞서있다고 계속 앞선다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다. 이에대한 전략이 기업 등의 실질적인 탄력으로 이어져야만 할 것이다.

키워드

#사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