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 사과산업 초토화… 중앙정부 대응 필요"
충주·제천·음성 114농가 80.8㏊ 피해전국 90% 차지
미발생 지역도 사전방제·예찰강화 등 경계수위 강화

지난 5일 충북도청에서 도내 11개 시·군 부단체장, 실·국장들이 참석해 과수화상병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 김미정

[중부매일 김미정 기자] "제천사과농가의 10%가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제천시는 2015년, 2018년, 2019년 과수화상병이 발생했는데 이러다가 제천사과가 초토화되는 것 아닌지 걱정입니다. 시·군에는 식물전문방역관이 없는데 제천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농기센터에서 2명을 채용해 앞으로 예방과 피해 최소화에 활용할 계획입니다."(이경태 제천부시장)

"충주지역 발생 면적의 75%가 산척면에 몰려있습니다. 과수화상병은 치료제도 없고 예방제도 없고 국가별로도 대응방안이 다른데 지자체 차원에서 원인을 파악하고 대응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농림부 등 중앙정부 차원의 대응이 필요합니다."(임택수 충주부시장)

"올해 첫 감염된 음성군 소이면 비산리 7농가는 다 붙어있어요. 사람이 전정작업과정에서 전염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검게 그을린 정도가 잎 한 뼘 정도밖에 되지 않아 식별하기가 쉽지 않습니다."(김영배 음성부군수)

"진천군은 아직 발생하진 않았지만 올해 발생한 천안 농가에서 백곡면 경계까지 6.3㎞, 음성 발생구역에서 덕산면 경계까지 17.3㎞로 경계를 늦출 수 없는 상황입니다. 진천군내 사과·배 전체 76농가에 대해 예찰을 강화하고 있어요."(전정애 진천부군수)

과수화상병 피해가 충북에 집중되자 충북도와 도내 11개 시·군 부단체장, 실·국장들이 한자리에 모여 해결방안에 머리를 맞댔다. 충북도는 지난 5일 충북도청에서 '제24회 충북 도·시·군 정책협의회'를 열어 과수화상병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과수화상병 확진 농가는 7월5일 현재 충북 충주·제천·음성지역 114농가, 피해면적 80.8㏊에 달한다. 이는 전국 131농가 89.4㏊ 피해면적의 90%를 차지한다. 충주지역이 57농가, 제천 50농가, 음성 7농가가 감염됐다. 충북은 2015년 제천시 백운면에서 첫 발생한뒤 2018년에 이어 세번째다.

<br>

송용섭 충북도 농업기술원장은 이날 회의에서 피해현황과 과수화상병의 특징 등을 설명하면서 철저한 과원관리와 교육 및 홍보를 시·군에 요청했다.

송 원장은 "역학조사 결과, 올해 발생원인은 충주시 산척면에서 3~8년 전 감염된 묘목 식재로 병원균이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과수화상병은 수년에서 최대 20년까지 잠복기를 갖고 있다가 25~29도 기온에 다습한 기상조건, 비료 과다 사용시, 나무 세력 저하 시에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음성군은 지난해 발생한 충주나 제천과 달리 올해 첫 발생했기 때문에 사람에 의한 전염 가능성이 큰 걸로 보이고, 내년에 소이면(올해 발생) 이외 지역에서 과수화상병이 발병한다면 감염된 묘목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송 원장은 또 "세균이 남아있을 지주대, 농자재, 가지, 과일 등을 제거하고 소독을 실시해달라"고 시·군에 당부한뒤 "발생한 과원 전체를 매몰처분하고 있는데 방제범위, 예찰방법, 농가 손실보상체계, 미발생지역에도 발제약 살포를 늘리는 방법 등을 중앙정부에 건의하겠다"고 강조했다.

미발생지역도 예찰을 강화하는 등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 보은군은 사과·배 전체 596농가 677ha에 대해 올해까지 4년간 사전 방제약제를 지원했고 오는 12일까지 3차 정기예찰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증평군도 화상병 약제 지원 및 방제를 위해 전체 사과·배농가(50호)에 1천200만원 투입해 올해 두차례 방제를 실시했다고 발표했다.

한창섭 부지사는 이날 회의를 주재하면서 "충북이 전국에서 피해가 가장 큰만큼 충북에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