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형 일자리 실현 위해 지역형 거버넌스 필요"

주무현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사업본부장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확대하기 위해선 지방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좋은 사례(좋은 일자리)를 만들고 이를 통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국고용정보원 제공

[중부매일 이완종 기자]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확대하기 위해선 지방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며 좋은 사례를 만들고 이를 통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국내에는 가파른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최근 높은 실업률,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인프라 격차 심화, 비수도권 인재유출 증가 등 지방 위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충북 역시 지방의 한계점이 분명한 상황이지만 올해 일자리 대상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하는 영애를 안았다. 이에 대해 주무현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사업본부장은 충북의 이번 일자리 대상 대통령상 수상에 대해 "일자리 정책의 모범을 위해 책임감을 가져야할 때"라고 강조했다.

"충북은 이번 일자리 대상에서 '대통령상' 등을 수상하는 영애를 안았습니다. 이는 타 지자체에서 충북을 새로운 시선과 관점으로 바라보게 된 계기가 된 것 입니다. 이처럼 일자리 모범사례가 된 충북은 앞으로가 더 중요하게 됐다. 높은 실업률,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격차, 인재유출 등 문제를 가지고 있는 가운데 최고의 일자리 정책을 펼쳤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일자리 최고 지자체라는 타이틀을 수성하기 위해서라도 더욱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하는 책임감을 가지게 된 것입니다."

이처럼 충북은 '일자리 최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서 '충북형 일자리'를 고민해봐야 할 시기다. 주 본부장은 노동, 경영, 재계, 시민사회 등이 한뜻을 모아 지역형 거버넌스를 구축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비교적 선진국에 속하는 일본 역시 버블경제 등을 지나면서 지역간 격차가 심각한 수준입니다. 지방과 수도권의 격차는 한국 이상을 뛰어넘을 정도니까요. 한국 역시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속에 충북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민간, 관, 재계 등이 합심해야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충북은 그동안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수많은 기업투자와 이를 바탕으로한 일자리 숫자를 늘려왔습니다. 여기에 노사민정협의회등을 통해 노사민정을 활성화 시켰고 정주여건 개선에 나서는 등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앞으로도 이 같은 기능을 더욱 확대시켜 노동, 경영, 재계, 시민사회, 지방정부 등이 한뜻을 모아 지역형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합니다."

주무현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사업본부장은
주무현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사업본부장은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확대하기 위해선 지방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좋은 사례(좋은 일자리)를 만들고 이를 통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국고용정보원 제공

여기에 도내 청년들의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에 대한 의견도 내놨다.

"그럼에도 충북은 여전히 '청년들이 원하는 일자리 없다'는 인식이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이는 즉 일하고 싶은 일자리가 없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는셈입니다. 결국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선 일하고 싶은 일자리를 만들어야 하는 것이 가장 우선시돼야 합니다. 지역의 일부 우수 기업에 지원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이를 선례로 남겨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일하고 싶은 기업을 만든다면 인재들이 자연스럽게 유입될 것이고 훌륭한 인재가 곳곳에 산재한다면 좋은 기업들도 당연히 충북에 투자를 하게 될 것입니다."

또한 대학의 고급 인력양성체제와 결합한 숙련 훈련도 절실함도 제시했다.

"최근 지역 산업 구조조정 및 고용위기 대응을 위해 정부가 8곳을 고용위기 지역으로 지정하고, 직업훈련비, 고용유지 지원금 등을 지원하고 있으나 이러한 단기적 처방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지역 경제의 주력산업 쇠퇴에 따른 산업재편을 위해서는 단기 대책과 함께 중장기 대응 조치도 동시에 모색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대체산업과 직업교육훈련사업 간 체계적 연계가 필요합니다. 지역 대학의 고급 인력양성체제와 결합한 숙련 훈련과 대학 내 장기 직업교육훈련과정 개설 및 이들에 대한 생계비 지원, 대학참여 지역 고용 거버넌스 구축 등 직업훈련·교육을 통한 사회안전망 구축 방안을 제시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주 본부장은 '충북형일자리'가 자리잡기 위해 지방정부의 역할의 중요성을 다시한번 강조했다. 지자체인 충북도가 주체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학교, 정계, 시민사회, 지자체 등 모두 머리를 맞대고 좋은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지금까지 꾸준히 노력해 왔습니다. 이 모든 것에 중심이 되는 충북도의 역할이 앞으로도 중요합니다. 그동안 충북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기업들의 투자유치에만 목메 왔습니다. 일자리의 양을 늘려왔다면 이를 기반으로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선 충북도의 역할이 앞으로 더 중요해질 것입니다. '전국 최우수 일자리 정책'이라는 타이틀 아래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정주여건 개선 및 다양한 정책 등을 마련하고 실현시켜야 합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