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車, 전가ㅣ·수소로… 미세먼지 이제 그만

[중부매일 신동빈 기자] 고농도 미세먼지로 인한 대기질 악화, 지구온난화에 따른 폭염으로 환경이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도시조성을 위한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에 청주시의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친환경 도시 조성 계획'을 통해 미세먼지 저감대책과 도심녹지 확보를 위한 세부계획을 살펴본다. / 편집자


◆미세먼지 없는 도시

국내·외 요인으로 청주지역에 고농도 미세먼지가 자주 발생하면서 시는 미세먼지 전담부서인 기후대기과를 신설하고 종합대책을 수립, 저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종합대책은 2025년까지 평균 미세먼지 농도를 30㎍/㎥ 이하로 목표로 분야별 36개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지역별 측정망 2개소를 신설하고 미세먼지와 대기정보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신호등 3개소를 설치했다.

도로 위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노력도 이어진다. 자동차 분진 배출량 70%를 차지하는 노후경유차 폐차지원 사업으로 1천425대의 차량을 감차했으며 친환경차량 보급 확산을 위해 전기자동차, 천연가스버스를 777대를 보급했다. 올해 하반기에는 충전소 설치 일정에 따라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30대를 추가 보급할 계획이다. 친환경 대중교통 확대사업도 추진된다. 지난해 충북 최초로 청주국제공항에서 오송역을 오가는 급행버스에 전기버스 6대를 도입한 것을 시작으로 올해 10월까지 15대의 전기버스가 주요노선에 배치된다.

지역 미세먼지 발생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대기배출사업장에 대한 지도·점검도 크게 강화됐으며 한국지역난방공사 등 대기다량배출사업장 12개소와 미세먼지 자발적 감축 협약을 체결했다. 이들 업체는 오는 2025년까지 미세먼지 배출량을 38%까지 감축할 예정이며 시는 분기별 점검으로 추진상황을 점검한다.

이밖에도 대기오염물질의 규제 및 종합적인 관리를 위해 대기오염총량제를 추진하고 있다. 6월 환경부를 통해 청주지역이 포함된 대기관리권역설정안이 통보됨에 따라 대기오염총량제 시행을 위한 준비를 차질없이 진행할 예정이다 2020년 4월 이 제도가 본격 시행되면 청주시 미세먼지 저감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심 녹지 지키기 총력

시는 2020년 7월 1일 시행되는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일몰제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도심 내 주요 녹지 공간 지키기 위해 '공원 최대 확보, 일몰제 부작용 최소화'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시가 추진 중인 민간개발 특례사업(구룡·매봉·월명 등 8개 공원에 대해 사업자가 30%를 비공원 시설로 개발하고 70%를 공원으로 개발해 기부하는 방안)이 녹지 훼손 등을 우려한 주민과 시민단체 등의 반발에 부딪히면서 사업자 선정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는 일몰제 대상인 공원 38개소 6천134㎢가 대부분 사유지이기 때문에 모든 공원을 매입하려면 1조4천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른 해법 마련을 위해 민·관 거버넌스를 구성해 대응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청주도시공원지키기시민대책위원회 등 단체에서 참여를 거부하고 있다. 이들 단체는 오는 25일 도시공원 문제 해결을 위해 시가 제안한 거버넌스 참석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시는 민·관 거버넌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해 8개 근린공원에 대한 민간개발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해당사업이 진척을 보이지 않자 토지주들이 재산권 행사에 나서면서 또 다시 암초에 부딪혔다. 시는 22일 '도시관리계획(공원·유원지) 변경 결정(안)'에 대한 주민공람을 공고했다. 공람내용은 서원구 성화동 구룡공원 전체 128만9천369㎡ 중 3만7천704㎡를 공원에서 해제하는 것으로 이곳 토지주들의 요청으로 이뤄졌다. 시는 다음달 6일까지 공람한 후 도시계획위원회를 열고 해제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이러한 움직임은 매봉공원·월명공원 등 도시공원 일몰제 지역 토지주들에게 번지고 있는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일부 공원의 민간개발 사업이 진척을 보이지 않으면서 토지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며 "재산권 행사를 위한 토지주들의 움직임이 커지면 지금 계획하고 있는 민간공원 개발에도 차질을 빚을 수 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이어 "토지주들이 내년 7월 1일부터 자체적으로 민간개발에 나설 경우 난개발 등에 대한 문제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