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매일 김강중 기자〕대전시가 4개국 6개 도시 해외통상사무소 근무자를 공무원을 활용하지 않고 민간인을 채용해 운영하고 있어 예산낭비 지적이다.

시에 따르면 지역 기업 교역 활성화를 위해 중국, 일본, 베트남, 미국 등 4개국 6개 도시에 해외통상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는 것. 시는 이들 사무소에 매년 12억 여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다.

이곳 연간 예산은 중국 선양 1억5000만 원, 난징 1억6000만 원, 일본 도쿄 2억2000만원, 베트남 빈증 및 호치민 1억6000만 원, 미국 실리콘밸리 3억 원 등이다.

해외 6개 도시 사무소 가운데 베트남을 제외한 나머지는 공무원이 아닌 대전경제통상진흥원과 대전테크노파크에 위탁해 파견 직원 또는 민간인을 채용해 운영하고 있다는 것.

현재 베트남 빈증·호치민에는 대전시 공무원(5급) 1명과 대전경제통상진흥원에서 파견된 직원 2명이 근무하고 있다. 미국 실리콘밸리 사무소장도 대전테크노파크에서 파견된 직원이다.

또 중국 선양과 난징, 일본 도쿄에는 대전경제통상진흥원이 시로부터 위탁을 받아 민간인 3명을 채용해 사무소를 운영중이다. 각 사무소에는 소장 외에도 현지인 1명씩을 두고 있다.

이처럼 해외통상사무소 근무인력을 일원화하지 않고 대전시와 산하기관이 따로 관리하고 있어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한 공무원은 "대전시에서 자체 운영하는 방식으로 희망 공무원을 해외사무소에 파견하면 인건비를 아낄 수 있는데도 굳이 산하기관에 위탁을 주면서까지 예산을 투입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라며 "어느 도시는 공무원을 파견하고 어느 도시는 민간인을 채용해 소장으로 두는 것은 예산낭비 뿐만 아니라 관리하는데 있어서도 비효율적"이라고 지적했다.

중국과 교역을 하고 있는 한 기업인도 "해외사무소에 공무원을 파견해 운영하는 부분과 산하기관의 직원 또는 민간인을 두고 운영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며 "중국에서는 시에서 파견된 공무원 보다는 시 산하기관 직원 또는 민간인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한편 광주시는 일본 도쿄, 독일 프랑크프루트, LA, 상하이 등 4개국 4개 도시에 5~7급 공무원 4명을 KOTRA 파견 근무 형태로 해외사무소를 설치 운영하고 있어 대전시와 대조를 보였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처음 해외사무소가 만들어지는 곳은 공무원을 파견하지만 언어 소통의 한계가 있어 현지 사정에 밝은 민간인을 채용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라며 "공무원을 파견하는 방안과 민간인 채용을 병행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키워드

#대전시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