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이완종 사회경제부 기자

"올해 여름 휴가를 앞두고 일본행 비행기 티켓을 예약해놨는데 취소했습니다. 이 시국에 일본 여행을 가는 모습이 좋게 보이진 않을 것 같더라구요."

여름휴가를 앞둔 한 직장인의 이야기다. 이 직장인은 올해 여름휴가 목적지를 청주공항에서 비교적 접근이 쉬운 일본 오사카로 결정했지만 한일 관계 악화에 따라 취소하고 여행계획을 다시 짜고 있다.

일본 정부는 지난달 한국의 첨단산업을 정밀 조준해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 3개 물품의 수출규제에 나섰다. 또 지난 2일에는 기존 27곳의 백색국가(수출 우호국)에서 한국을 전면 제외시키는 경제 보복에 나서면서 짧은기간 양국의 관계악화는 심화됐다.

이에 가장 먼저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해 규탄에 나선 것은 일반 시민들이었다. '노 재팬', '보이콧 재팬' 등을 외치면서 일본 제품의 불매에 나섰다.

이완종 사회·경제부.
이완종 사회·경제부.

이어 유통업계에서도 거들었다. 이들은 '사지 않는다'는 소비자들을 겨냥해 '팔지 않는다'며 일본 제품 불매에 나섰다. 초기 전국마트연합회를 중심으로 일부 중·소규모 마트에서 시작된 불매운동은 지역의 대형마트까지 번졌다. 더구나 불매운동은 SNS, 맘카페 등에서 대대적으로 일본제품 불매리스트를 공유하는 등 사회 전반으로 확산됐다.

여기에 각 지자체 등도 일본 경제 보복에 대해 '규탄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우리 사회의 '반일감정'이 높아졌다.

무엇보다도 이번 일본 불매운동으로 인해 국내 '탈일본의 본격화'가 진행되고 있다.

당장은 어려움이 있지만 대기업부터 중소기업까지 소재·부품 등을 국산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도 매년 국내 산업 기술 개발에 1조원 이상을 투자해 앞으로 5년안에 100개 핵심품목에 대해 일본 의존도를 없애겠다고 하는 등 '탈일본'이 본격화되고 있다. 결국 불매운동으로 '일본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자'라는 여론이 형성됐고 결과적으로 '탈일본'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번 수출규제가 대한민국의 '터닝포인트'가 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