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정구철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총사업비 2조2천421억 원을 투입해 추진하는 이천~문경 간 중부내륙선철도가 오는 2023년 준공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중심부에 위치한 충주시는 중부내륙선철도가 통과하게 되면 고속도로에 이어 고속철도까지 사통팔달의 교통망을 갖추게 돼 명실상부한 전국 최고의 접근성을 자랑하게 된다.

충주시는 수도권과 1시간대 이내로 연결되는 고속철도를 통해 수도권의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관광활성화로 지역발전을 앞당긴다는 복안이다.

고속철도시대를 앞둔 시민들의 기대감도 당연히 클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고속철도가 개통된다고 그저 낙관만 할 수는 없는 입장이다.

충주와 같은 중소도시로서는 수도권과의 접근성 향상이 '양날의 칼'이나 마찬가지다.

제대로 대비하지 못할 경우, 오히려 지역경제에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접근성 향상으로 인해 지역 유통자금이 문화 혜택과 쇼핑여건 등 모든 부문에서 월등한 수도권으로 유출돼 이른바 '빨대현상'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제대로 대비하지 못한 상태에서의 고속철도 개통이 능사만은 아니다.

특히 중부내륙선철도를 통과하는 경북 문경시 등 충주시 인근 자치단체들이 대대적인 관광자원 개발에 나서고 있어 자칫 이들과의 경쟁에서 밀릴 경우, 수도권에서 늘어난 관광수요를 이들 지역으로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수안보역과 불과 18㎞ 정도 떨어져 고속철로 5분 거리에 위치한 경북 문경시는 중부내륙선철도 개통을 문경 재도약의 동력으로 삼고 2030년까지 인구 30만 명과 전국 최고의 물류거점도시, 관광과 교통의 중심도시로 만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했다.

400억 원이나 되는 사업비를 투입해 35만7천㎡ 규모의 문경역 역세권 개발사업도 추진중이다.

이와 비교하면 고속철도 시대를 앞둔 충주시의 준비상황은 심히 우려된다.

충주시는 지역개발과에 7급과 9급 직원 각각 1명씩 배치해 2명의 인원으로 철도TF팀을 구성해 놓고 있다.

이중 1명은 부서 서무를 겸하고 있어 사실상 나머지 1명의 직원이 철도업무를 전담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하는 일도 철도 건설에 따른 행정지원이나 민원처리 등 단순업무가 고작이다.

충주시는 충북선고속철사업에 동충주역 신설과 노선변경을 위해 올인하면서 정작 중요한 중부내륙선철도 개통 후 대비에 대해서는 마치 손을 놓은 듯한 모습이다.

어느 자치단체를 막론하고 미래전략은 자치단체의 흥망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과제다.

이런 면에서 불과 2∼3년 뒤 고속철도 개통을 앞둔 충주시의 대응전략은 무엇인지 궁금하다.

정구철 충북 북부본부장겸 충주주재 기자
정구철 충북 북부본부장겸 충주주재 기자

시는 철도 관련 용역 결과가 나오면 이를 토대로 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밝혔지만 아주 구태의연하고 수동적인 자세다.

시는 지금까지 여러차례의 용역을 통해 다양한 관광개발계획을 제시했고 일부 실행에 옮기기도 했지만 대부분 아까운 혈세만 낭비한 채 실패로 끝났다.

용역결과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치단체의 의지다.

충주시의 확고한 의지가 선행되지 않는다면 앞으로도 똑같은 전철을 되풀이할 수 밖에 없다.

시는 엉뚱한 방향에 시민여론을 결집시켜 소모전을 벌일 것이 아니라 바로 이 시점 이 중요한 일들을 위해 시민들의 중지를 모아야한다.

우연한 성공은 없고 준비하는 자의 몫이다.

충주시는 이제라도 미래전략 마련에 나서야 한다.

더 이상 늦춰서는 안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