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 국회 토론회' 참석자들이 자리를 함께 하고 있다. 앞줄 왼쪽 세 번째부터 신용현 의원, 김양수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부원장, 변재일 의원, 이시종 충북지사, 한범덕 청주시장.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 국회 토론회' 참석자들이 자리를 함께 하고 있다. 앞줄 왼쪽 세 번째부터 신용현 의원, 김양수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부원장, 변재일 의원, 이시종 충북지사, 한범덕 청주시장.

10여년을 준비한 끝에 최근 일본의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수출규제로 주목을 받고 있는 충북도 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지난 10일 국회에서 열린 토론회는 충북 오송·오창 일원에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을 서둘러야 한다고 촉구하는 자리였다. 토론회 참석자들은 현재 포항에 위치한 방사광가속기 2기만으로는 국내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며 신규 구축 후보지로 오송·오창이 적합하다는데 한목소리를 냈다. 또한 새롭게 형성되는 신산업벨트의 구심점으로 방사광가속기의 역할을 제기하면서 이에 대한 공론화와 본격적인 추진을 주장했다.

토론회에서 가장 주목받은 부분은 방사광가속기연구센터를 기반으로 한 평택~이천~천안~오송·오창~대전을 연결하는 신(新)산업 혁신벨트 구축이다. 이 벨트는 방사광가속기의 활용도가 높은 반도체와 바이오산업의 거점이면서 대한민국 신성장동력의 축이다. 경기도 이천·기흥·화성·평택에서 청주 오창으로 연결되는 반도체 벨트와 수원·시흥·안산·오산 등 경기도 남부에서 청주 오송으로 이어지는 바이오벨트에 기술혁신 거점인 대전을 묶는 최적지가 오송·오창인 것이다. 수요가 있는 곳에 공급이 이뤄지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이미 주지된 내용이지만 오송·오창은 방사광가속기 구축에 적합한 '화강암반층' 지질이면서 부지확보에 유리하다. 입지의 적합도까지 뛰어나다는 얘기다. 여기에 더해 포항 방사광가속기의 수요는 이미 포화상태를 넘어선지 오래고, 설치된지 25년여가 지난 노후장비라서 신규 구축은 피할 수 없는 국가적 과제다. 모든 여건이 오송·오창에 차세대 방사광가속기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하는 셈이다. 더구나 일본의 소·부·장 수출규제로 드러난 우리 산업의 취약한 기반을 하루빨리 보강하기 위해서라도 이제 본격적인 추진이 이뤄져야 할 때이다.

알려진 것과 같이 방사광가속기는 전자를 빛의 속도로 가속해 얻은 방사광으로 물질의 구조 관찰, 성질 분석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대형연구시설이다. 주요 쓰임새로 미세한 고부가가치 융복합소재 개발, 나노기술, 반도체용 정밀 소자, 나노미터(㎚, 10억분의 1m)급 반도체 생산, 바이러스 DNA 구조·극미량 화학성분 분석, 고해상도의 종양 촬영 등을 꼽을 수 있다. 하나같이 첨단기술의 시작점이자 필수요소들이다. 이는 한기에 1조원 가량이 드는 사업임에도 선진국들이 투자에 나서는 까닭이며 우리가 뒤쳐져서는 안될 이유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추진 의사를 밝히지 않고 있는 정부에서 속도를 내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신규 구축 주장에 대해 정부도 '긍정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국감에서 "로드맵을 마련해 개념설계와 필요한 절차를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이제 남은 것은 실행이다. 당위성과 타당성이 확인됐고, 시기적으로 서둘러야 한다면 재고 말고 할 것이 없다. 우리에게 신성장산업의 미래가 필요하다면 이를 이끌어 줄 방사광가속기를 먼저 갖춰야만 한다. 그것이 순리인 것이다.

키워드

#사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