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편차도 심각···전체 75% 수도권·영남권 집중

〔중부매일 김홍민 기자〕국내 스마트 공장의 고도화 수준이 여전히 미흡하고 지역별 편차 또한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16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조배숙 국회의원(민주평화당·익산 을)이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국 17개 시·도의 스마트공장 7천14개 중 75.2%가 수도권과 영남권에 집중됐다.

충청권내 스마트공장(기초+중간1+중간2)은 937개(13.3%)로 ▶충남 439개(6.3%, 전국 6위) ▶충북 358개(5.1%, 9위) ▶대전 104개(1.5%, 14위) ▶세종 36개(0.5%, 16위) 등 중하위권에 머물렀다.

특히 공정 최적화가 가능한 '중간2' 단계 스마트공장은 전체의 1.5%인 39개에 불과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스마트제조혁신단은 스마트공장을 고도화 수준에 따라 ▶생산 모니터링이 가능한 '기초'단계 ▶수집정보를 바탕으로 기본적 제어가 가능한 '중간1'단계 ▶사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정최적화를 이루는 '중간2'단계 ▶인공지능을 통해 자율운영이 가능한 '고도화'단계로 분류하고 있고, 현재 국내에 보급된 최고 수준 단계는 '중간2'단계이다.

충청권 대전, 세종, 충북, 충남 등 4개 광역지자체의 '중간2' 단계 스마트공장은 각 2개씩 모두 8개로 비중은 시도별 각각 1.9%에 그쳤다.

'중간2'단계 스마트공장의 32.7%가 경기도에 집중된 반면, 전북, 강원에는 단 한 곳도 구축되지 못했다.

한 단계 아래인 '중간1'단계의 스마트 공장은 전국 1천311개로 전체의 18.7%였다.

전체 스마트공장의 80%는 여전히 공정을 단순 모니터링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는 실정이다.

조 의원은 "대다수의 스마트 공장이 여전히 기초단계에 머물러 있고, 지역별 편중 또한 심각한 상황"이라고 지적하고, "중소벤처기업부가 스마트공장의 양적 보급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고도화 달성과 지역간 편차 해소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홍민/ 서울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