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정석윤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전 세계적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ASF)은 현재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비롯한 아프리카 28개국, 러시아, 헝가리 등 유럽 13개국, 중국과 북한 등 아시아 5개국에서 발생되고 있다고 한다. ASF도 바이러스 질병이다. 입이나 비강을 통해 전파되기도 하지만, 진드기에 물려 피부나 피하를 통하여 걸리기도 한다. 타국사례에 의하면 비발생 지역으로 바이러스가 유입되는 경로는 공항만을 통해 열처리되지 않은 돼지고기 잔반을 통하여 발생한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현재 ASF 발생국 인접국가를 비롯해 세계 각국은 ASF를 막기 위해 사력을 다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ASF의 주요 발병원인으로는 야생멧돼지를 통한 전파가 가장 크며, 다음으로는 사람들이 먹다 남은 잔반을 돼지 먹이를 만든 잔반사료에 의한 감염이다. 이에 따라 발병국에서는 야생멧돼지의 혈액을 채취해 바이러스가 검출된 경우 특정 지역의 야생멧돼지를 모두 살처분하는 강력한 정책을 취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추측일수 있지만 북한의 야생멧돼지를 통한 감염이 주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만약이 아닌 실제 전파감염을 대비해 DMZ 부근의 야생멧돼지 개체수를 조절해야 한다고 세계 최고의 ASF 권위자인 세계동물보건기구의 호세 마누엘 산체스 박사가 강력히 권고했다고 한다.

또한 관련정부기관과 농협 등에서는 남은 음식물, 잔반사료가 돼지사료로 이용될 수 없도록 철저하게 정책을 집행해야 할 것이다. 국내 축산업뿐만 아니라 연관된 농산업 및 요식업체들의 재앙을 막을수 있고 확산 차단 성공 여부에 따라 국내 양돈산업의 미래가 달려있기 때문이다.

확산이 계속돼 국내 사육돼지가 절멸 상태에 빠질 경우 소비자 물가는 물론 국내 경기도 큰 타격을 받게 된다. 정부와 축산업 관계자 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와 시민들 역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다.

우리나라의 경우 집돼지는 농식품부가, 멧돼지는 환경부가 담당하는데 효율적인 차단을 위해서는 한 개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 방역을 위한 위원회를 따로 설치해 이 위원회의 결정에는 모든 부처가 절대적으로 동의하도록 권한도 같이 줘야 할 것이다.

2010년 11월에 발생한 구제역으로 대한민국은 총 6천171농가에서 돼지, 소, 염소, 사슴 등 약 345만2천두의 가축을 땅에 파묻었다. 가장 피해가 컸던 양돈의 경우 그 규모가 2009년 양돈 생산액 대비 35%에 달했고 전체 추정 피해액은 무려 3조9천억원에 이르렀다. 이렇게 큰 피해를 줬던 구제역보다 더 큰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이 바로 이 아프리카돼지열병이다.

대표적인 양돈 선진국인 덴마크도 독일과의 국경에 야생동물이 이동할 수 없도록 장벽을 설치하고, 2019년 말까지 덴마크 전역에 있는 야생멧돼지를 모두 살처분하는 정책을 시행중에 있다. 야생멧돼지에 의한 ASF가 발생하면 덴마크의 주요 수출품목인 축산물 수출이 원천적으로 금지되므로, 자국 내 축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강력한 정책을 취한 것이다.

영화 소재로도 자주 등장하는 ASF와 같은 바리러스 전염병은 인류의 근원적 공포다. '전염병 아포칼립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전염병 발생은 사회적 재난 상황과 연결된다. 동물과 식물의 전염병도 그 결과는 사람에게 부메랑처럼 치명적으로 돌아온다는 사실을 잊지말고 전 국민이 방역에 고생하는 분들과 자식처럼 키운 돼지를 살처분해 가슴속에 피눈물을 흘리고 있는 양돈농가의 고충을 같이 어루만져 주길 고대한다.

 정석윤 농협구미교육원 교수<br>
 정석윤 농협구미교육원 교수

키워드

#정석윤 #기고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